본문 바로가기
2008.05.23 02:11

짚신나물

조회 수 706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짚신나물

풀꽃이름

얼마 전 세계적인 잡지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원이 엄마’의 한글 편지와 짚신 사진을 소개했다. 1586년 지금의 안동 지역에 살던 아이밴 과부가 자기 머리카락과 삼 줄기를 한데 삼은 신발을 편지와 함께 남편 무덤에 묻었는데, 1998년 택지를 개발하면서 발견된 것을 소개한 기사다. 쉽게 마음을 바꾸는 요즘 사람들에게 보여준 영원한 사랑의 진실이다.

풀꽃이름 중에 ‘짚신나물’이 있다. 꽃받침에 있는 갈고리 같은 가시털이 물체에 잘 들러붙어서 생긴 이름인데, 신기하게도 사람 다니는 길가나 풀숲 쪽으로 많이 난다고 한다. 곧 짚신이나 버선에 잘 달라붙고, 어린 순을 익혀 무쳐 먹기에 ‘나물’이 붙었다. 보기에 따라서는 넓적한 잎 모양도 짚신과 닮았다. 또한 사람과 짐승에 붙어서 번식하는 것도 특별하다. 꽃말이 ‘임 따라 천릿길’이라니 고개를 끄덕일 만하다.
 




같은 모양이지만 볏짚으로 삼은 신발은 ‘짚신’이고, 삼·모시 등으로 삼은 신발은 ‘미투리’라고 하니까, ‘원이 엄마의 미투리’가 정확한 표현이다. 큰 은혜(사랑)를 갚는 데 ‘머리카락으로 신을 삼아 바친다’는 옛말의 정확한 물증을 본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3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8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845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353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408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455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451
310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315
31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583
31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514
309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348
3098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1053
3097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848
3096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1010
309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977
3094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993
309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937
309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937
3091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283
309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161
3089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943
3088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910
308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896
3086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1030
308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9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