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2 03:11

다듬은 말

조회 수 5625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듬은 말

북녘말

어려운 한자어나 외래어를 쉬운 토박이말로 바꾼 것으로, 남녘의 순화어와 같은 말이다. 남쪽에서도 순화어뿐만 아니라 ‘다듬은 말’ ‘쉬운말’이란 표현을 아울러 쓰기도 한다. 북녘에서는 1966년 7월부터 73년 5월까지 신문과 잡지를 통해 말다듬기 사업을 크게 벌였다. 5만여 가지를 다듬었는데, 86년에 발행된 <다듬은 말>에서는 2만5천여 가지로, 92년 발행된 <조선말대사전>에서는 1만4천여 가지로 정리된다. 이 사업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지만, 수치를 단순하게 계산하면 20년 동안 30% 정도 살렸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대단한 성과다. 일반에서 쓰는 말을 다른 말로 바꾸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북녘에서 발표한 모든 다듬은 말이 북녘 사회에서 실제로 정착한 말은 아니다. 북녘에서도 본디 쓰던 말로 돌아간 것이 많이 있다. 또 정책적으로도 ‘인민들이 따라오지 않으면 다시 본말로 되돌리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1997년 1월 <로동신문>에서는 김정일 위원장이 ‘국제 공용어를 잘 살려 쓸 것’을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국제 공용어’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말을 말한다. 그 후 북녘에서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의학, 전자 기기, 컴퓨터, 스포츠 등의 용어를 원어에 가까운 형태로 쓰고 있다고 한다.

남녘의 일부 기사에서 특이하게 다듬은 말을 골라서 북녘말로 나열하고 남북의 언어 차이가 심각하다고 하는 것은 자료에 대한 이런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겠다. 남녘에서 보기에 좀 이상하다고 생각되는 말은 북녘에서도 정착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867
2952 여우 바람의종 2008.11.26 5517
2951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518
2950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25
2949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25
2948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中) 바람의종 2008.06.22 5530
2947 '이/가' '을/를' 바람의종 2009.03.27 5589
2946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603
2945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620
» 다듬은 말 바람의종 2008.05.22 5625
2943 억수로 좋노? 바람의종 2009.08.27 5630
2942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631
2941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636
2940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8.08.27 5636
2939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47
2938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1.12 5659
2937 반딧불이 바람의종 2008.09.07 5660
2936 사위질빵 바람의종 2008.03.10 5666
2935 더 이상 바람의종 2008.10.26 5679
2934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682
2933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689
2932 맨 처음, 맨손 바람의종 2008.12.07 5710
2931 바쁘다 바람의종 2008.03.28 57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