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3 03:09

군말

조회 수 733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군말

언어예절

음식과는 상관없이 때는 불로서, 요즘의 난방 에너지가 군불이다. 군일·군것질 따위는 일자리 늘리기 또는 큰 사업거리가 됐고, 사람따라 군살 빼는 일로 시끄러운 시절이다. 군말도 쓰임이 폭넓다. 정당한 말이 듣는이에 따라서는 군소리, 곧 불평으로 들을 때가 있다. 이때 인격·소통 문제가 불거진다. 말본에서, 제자리 아닌 데 가져다 쓴 말을 ‘군더더기’ ‘군글자’라고 한다.

“몸에 오른 열이 아직 식지가 않았다/ 도대체가 말도 안 된단 말이에요/ 그 방은 아무리 불을 때어도 따뜻하지를 않다 …”

숨을 고르고 강조하는 효과가 있어 여기서 군더더기를 짚어낼 이는 많지 않을 성싶다.

흔히 베풀어 설명할 때 “생각건대, 예컨대, 아마, 실로, 비록, 끝으로, 듣건대, 말하자면, 이른바 …” 들을 끼워넣는다. 나아가 “에, 음, 저기, 보세요, 어떻습니까, 그렇잖습니까 여러분! …”에다 침묵이나 몸짓·눈짓들도 잘만 쓰면 말을 아끼고 성검도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리고, 한편, 그래서, 따라서, 그러니, 아울러, 이에 따라, 이와 관련해 …” 따위 이음말(접속어)들도 흔히 쓴다. 문제는 잦을수록 글이 늘어지고, 괜찮은 말도 값싸게 들리게 하거나 군말로 만들 때가 많다. 듣는이나 읽는이가 불편해진다.

전날, 일노래에서 ‘메기는 소리’를 군말이라고 했다. 듣는이는 짧은 군말에도 ‘예이, 그렇지, 얼씨구 …’처럼 추임새를 준다. 연설에서도 사설이 길어서는 옳소나 손뼉치기 같은 반응을 얻기 어렵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0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62
2886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風文 2022.08.22 1073
2885 국민 바람의종 2008.11.23 4541
2884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261
2883 국민들 바람의종 2010.09.08 11698
2882 국방색 / 중동 風文 2020.06.24 2168
2881 국수 바람의종 2007.06.05 7373
2880 국어 영역 / 애정 행각 風文 2020.06.15 1564
2879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116
2878 국어의 품사 1 바람의종 2009.12.14 14928
2877 국으로 바람의종 2010.11.25 10944
»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30
2875 군불을 떼다 바람의종 2007.12.28 12842
2874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114
2873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678
2872 굳은 살이 - 박혔다, 박였다, 배겼다 바람의종 2009.07.28 8862
2871 굴뚝새 바람의종 2009.07.08 6084
2870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559
2869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10.05.18 11504
2868 굴지 바람의종 2007.06.05 6900
2867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27
2866 굼때다 바람의종 2008.07.05 6929
2865 굽신거리다 바람의종 2008.10.22 67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