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3 03:06

사리원과 원효

조회 수 7339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리원과 원효

땅이름

땅이름에 쓰이는 ‘새’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갖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두 마을 사이에 있는 마을을 ‘새말’이라 부르며, 새로 만든 보금자리를 뜻하는 ‘새터’가 있다. 새말이나 새터는 보편적으로 쓰이는 땅이름이기에 전국 각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새’의 옛말은 ‘삿’이나 ‘사‘△ㅣ’ ’였다. ‘사‘△ㅣ’ ’는 ‘사이’를 거쳐 ‘새’로 변화한다. 또한 ‘삿’은 ‘살’을 거쳐 ‘사리’로 변화해 갈 수 있다.

‘사리’의 다른 형태로는 ‘사라’가 있다. <삼국유사> ‘원효불기’ 조항에는 재미있는 기사가 있다. 원효의 세속 성씨는 설씨로 본디 압량군 사람이었다. 압량군은 지금의 경북 경산으로 후에 삽량과 압량이 나누어졌는데, 삽량은 지금의 양산이다. <삼국유사>에서는 삽량 사람인 원효가 ‘사라수’ 아래서 태어났는데, 그의 어머니가 만삭이 되어 집에 귀가하지 못한 채 갑자기 출산하게 된 데서 붙은 이름이라고 하였다. 또한 이 책에서는 원효는 스스로 법명을 지었는데 시골말(향언)로 ‘새벽’을 뜻한다고 하였다.

원효의 출생지가 ‘사라’였고 그의 법명이 ‘새벽’을 뜻한다고 할 때, ‘사라’는 ‘새’에 해당하는 고대어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양주동이 밝혔듯이 ‘향가’를 ‘사뇌가’라 부른 까닭도 동쪽을 뜻하는 ‘새’와 관련을 지었음을 고려할 때, ‘새’의 여러 의미인 ‘동쪽’, ‘사이’, ‘새로움’의 뜻을 갖는 ‘사라’가 있었으며, 이 말은 ‘사라곡’(전남 광양)이나 ‘사리원’ 등과 같이 땅이름에 오래도록 남아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9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281
2380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401
2379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403
2378 비지땀 風磬 2006.12.23 7403
2377 안갚음 / 앙갚음 바람의종 2008.06.03 7406
2376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410
2375 검식, 감식 바람의종 2010.03.03 7411
2374 난친이 바위 바람의종 2008.02.24 7412
2373 분꽃 바람의종 2008.04.14 7412
2372 천편일률 바람의종 2007.12.22 7417
2371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419
2370 오고셍이 돌려줬수왕! file 바람의종 2010.01.11 7422
2369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425
2368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429
2367 제비 바람의종 2009.05.29 7435
2366 올인 바람의종 2008.04.29 7436
2365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38
2364 라이방에 봉고 바람의종 2008.09.30 7442
2363 도리장이·물자이 바람의종 2008.06.07 7445
2362 말할 자격 바람의종 2009.06.16 7447
2361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448
2360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450
2359 신토불이 바람의종 2008.10.30 74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