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2 01:23

막덕·바리데기

조회 수 8182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막덕·바리데기

사람이름

<세종실록>을 보면, 배천 사람 유을미의 아내 ‘막덕’이 한배에 세 아이를 낳았기로 나라에서 쌀을 내렸다. 초계의 약비가 세 아들을 낳았는데 둘이 숨졌다. 셋을 낳았으니 쌀 열 섬을 줘야 한다. 둘은 죽고 하나만 살았으니 어째야 할지 임금과 신하들이 논의했다. 예조에서 닷 섬만 주는 것이 옳다 하니 그대로 따랐다. <중종실록>에도 안변 사는 쇳덩이 아내 은금, 충청도 회덕의 일비, 전라도 창평의 늦덕(芿叱德/於叱德)이 세 쌍둥이를 낳았다.

이름접미사 ‘-덕’(德)은 계집이름에 주로 쓰였는데 “가오덕·가지덕·감덕·개덕·거믈덕이·검덕이·계덕·골덕·곰덕·곱덕·곶덕·구덕·구관덕·굿덕·귀덕·금덕·긋덕·난덕·납덕·넙덕·논덕·늦덕·니덕·뎡덕·돌덕·두리덕·뚠덕·막덕·만덕·망덕·모로덕·문덕·뭉덕·믜덕·믠덕·바리덕/‘ㅂ.리덕’·반덕·발늦덕·보덕·본덕·부억덕·분덕·불덕·사덕·산덕·삼덕·사랑덕·생덕·서덕·설덕·션덕·손덕·솟덕·수덕·순덕·쉰덕·시덕·신관덕·앙덕·야랑덕·야무덕·어리덕·어목덕·언덕·엇덕·연덕·오덕·오목덕·옴덕·울덕·움덕·은덕·의덕·이른덕·인덕·일덕·자이덕·작덕·잣덕·쟈근덕·졈덕·존덕·죵덕·죽덕·진덕·쳔덕·쳥덕·큰덕·톨덕·한덕·헌덕·후리덕·흔덕·흘리덕이 …” 따위가 있다.

난덕·니덕·사랑덕·구관덕(舊官-)·신관덕(新官-)·큰덕이 따위에서 ‘-덕’은 덕택의 뜻으로 쓰였다. 죽은 사람의 넋을 저승으로 보내는 오구굿, 그 주인공 ‘바리데기’가 ‘바리덕/‘ㅂ.리덕이’’의 다른 소릿값임을 볼 때 막덕·부억덕·작덕이는 낱낱 ‘막대기·부엌데기·작대기’를 적은 것으로도 생각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5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0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081
1940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151
1939 무량대수 바람의종 2008.04.16 8159
1938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160
1937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162
1936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63
1935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64
1934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169
1933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178
1932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178
» 막덕·바리데기 바람의종 2008.05.12 8182
1930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186
1929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186
1928 갸냘픈 바람의종 2012.08.01 8188
1927 마개와 뚜껑 바람의종 2008.02.04 8190
1926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00
1925 이견을 좁히다 바람의종 2008.12.06 8200
1924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201
1923 썰매 바람의종 2010.07.26 8203
1922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205
1921 문장의 앞뒤 바람의종 2010.01.10 8211
1920 공권력 바람의종 2010.09.03 8215
1919 수훈감 바람의종 2010.05.17 82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