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2 01:23

막덕·바리데기

조회 수 8194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막덕·바리데기

사람이름

<세종실록>을 보면, 배천 사람 유을미의 아내 ‘막덕’이 한배에 세 아이를 낳았기로 나라에서 쌀을 내렸다. 초계의 약비가 세 아들을 낳았는데 둘이 숨졌다. 셋을 낳았으니 쌀 열 섬을 줘야 한다. 둘은 죽고 하나만 살았으니 어째야 할지 임금과 신하들이 논의했다. 예조에서 닷 섬만 주는 것이 옳다 하니 그대로 따랐다. <중종실록>에도 안변 사는 쇳덩이 아내 은금, 충청도 회덕의 일비, 전라도 창평의 늦덕(芿叱德/於叱德)이 세 쌍둥이를 낳았다.

이름접미사 ‘-덕’(德)은 계집이름에 주로 쓰였는데 “가오덕·가지덕·감덕·개덕·거믈덕이·검덕이·계덕·골덕·곰덕·곱덕·곶덕·구덕·구관덕·굿덕·귀덕·금덕·긋덕·난덕·납덕·넙덕·논덕·늦덕·니덕·뎡덕·돌덕·두리덕·뚠덕·막덕·만덕·망덕·모로덕·문덕·뭉덕·믜덕·믠덕·바리덕/‘ㅂ.리덕’·반덕·발늦덕·보덕·본덕·부억덕·분덕·불덕·사덕·산덕·삼덕·사랑덕·생덕·서덕·설덕·션덕·손덕·솟덕·수덕·순덕·쉰덕·시덕·신관덕·앙덕·야랑덕·야무덕·어리덕·어목덕·언덕·엇덕·연덕·오덕·오목덕·옴덕·울덕·움덕·은덕·의덕·이른덕·인덕·일덕·자이덕·작덕·잣덕·쟈근덕·졈덕·존덕·죵덕·죽덕·진덕·쳔덕·쳥덕·큰덕·톨덕·한덕·헌덕·후리덕·흔덕·흘리덕이 …” 따위가 있다.

난덕·니덕·사랑덕·구관덕(舊官-)·신관덕(新官-)·큰덕이 따위에서 ‘-덕’은 덕택의 뜻으로 쓰였다. 죽은 사람의 넋을 저승으로 보내는 오구굿, 그 주인공 ‘바리데기’가 ‘바리덕/‘ㅂ.리덕이’’의 다른 소릿값임을 볼 때 막덕·부억덕·작덕이는 낱낱 ‘막대기·부엌데기·작대기’를 적은 것으로도 생각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30
1236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22
1235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824
1234 상채기, 상흔, 생재기 바람의종 2008.12.18 9824
1233 인사 바람의종 2008.04.15 9826
1232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37
1231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9837
1230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840
1229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9840
1228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848
1227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50
1226 오랑우탄 아들 바람의종 2010.07.18 9850
1225 답습 바람의종 2007.06.24 9851
1224 너댓개 바람의종 2008.12.10 9852
1223 으악새 바람의종 2008.01.31 9855
1222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855
1221 발목이 접(겹)질려 바람의종 2009.06.17 9863
1220 아스팔트와 아부라 바람의종 2010.01.22 9866
1219 다반사 바람의종 2010.09.03 9866
1218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869
1217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75
1216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876
1215 불편부당 바람의종 2010.08.14 98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