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1 01:02

사변

조회 수 5995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변

북녘말

사변(事變)은 남북이 같이 쓰는 말인데, 쓰임에서 남북 차이가 있다. 남녘에서는 ‘만주사변, 을미사변’과 같이 주로 역사적이고 부정적인 일에 쓰는데, 북녘에서도 ‘을미사변’을 쓰지만, 일상적인 일과 긍정적인 일에도 ‘사변’을 쓴다.

“‘허! 이건 굉장한 사변인데.’ 봉서는 쓰거운 웃음을 눈가에 띄우며 씨까부렸다.”(조선단편집, 3. 씨까부리다: 남의 비위를 건드리면서 놀려댄다는 뜻)
“새 북부철길의 개통은 두메산간오지에서도 기관차의 기적소리 울려퍼지게 하는 또 하나의 커다란 사변이였다.”(조선말대사전)

남녘에서는 “우리나라의 가정은 사변 때 식구들의 생사조차 서로 모를 정도로 파괴되었다.”(김승옥, 역사)와 같이 ‘육이오 사변’을 ‘사변’으로 쓰기도 한다. 최근에는 ‘육이오 사변’ 대신 ‘한국 전쟁’을 쓰기도 하지만, ‘사변’이라는 말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은 남아 있다고 하겠다. 그 영향인지 몰라도 남녘에서 사변은 많이 쓰이지 않는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오른 ‘사변’ 다섯 개 가운데 최근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말은 사변(思辨)으로 보인다. 이 사변은 주로 ‘사변적 방법, 사변적이다’와 같이 ‘-적’과 함께 쓰인다.

사변에 대한 미묘한 차이는 초기 북녘 사전에서도 확인된다. 1961년에 나온 <조선말사전>에서는 ‘변스러운 사건’, ‘비상한 사건’ 외에 ‘중대한 일’이라는 풀이가 있다. 남녘 사전에서는 최근 사전까지도 부정적인 뜻으로만 풀이한 것과 비교해 볼 때, 북녘에서는 오래전부터 긍정적인 뜻으로도 쓰인 것으로 보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50
1786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923
1785 부처손 바람의종 2008.02.10 8762
1784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285
1783 부축빼기 바람의종 2010.01.08 9929
1782 부치다 / 붙이다 바람의종 2008.06.18 10929
1781 부화가 치밀다, 부아가 치밀다 / 화병, 홧병 바람의종 2010.05.08 26807
1780 북녘말 바람의종 2012.10.04 12225
1779 북녘의 경제 용어 바람의종 2010.02.25 8284
1778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457
1777 북녘의 수학 용어 바람의종 2010.02.22 7650
1776 북망산 가다 바람의종 2008.01.14 10052
1775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472
1774 북한의 국화는 목란꽃 바람의종 2010.01.18 14096
1773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293
1772 분꽃 바람의종 2008.04.14 7243
1771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179
1770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338
1769 분루 바람의종 2007.10.19 11060
1768 분홍바늘꽃 바람의종 2008.07.12 6307
1767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風文 2022.08.15 1138
1766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風文 2022.09.18 1101
1765 불구하고?/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105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