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1 01:02

사변

조회 수 6013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변

북녘말

사변(事變)은 남북이 같이 쓰는 말인데, 쓰임에서 남북 차이가 있다. 남녘에서는 ‘만주사변, 을미사변’과 같이 주로 역사적이고 부정적인 일에 쓰는데, 북녘에서도 ‘을미사변’을 쓰지만, 일상적인 일과 긍정적인 일에도 ‘사변’을 쓴다.

“‘허! 이건 굉장한 사변인데.’ 봉서는 쓰거운 웃음을 눈가에 띄우며 씨까부렸다.”(조선단편집, 3. 씨까부리다: 남의 비위를 건드리면서 놀려댄다는 뜻)
“새 북부철길의 개통은 두메산간오지에서도 기관차의 기적소리 울려퍼지게 하는 또 하나의 커다란 사변이였다.”(조선말대사전)

남녘에서는 “우리나라의 가정은 사변 때 식구들의 생사조차 서로 모를 정도로 파괴되었다.”(김승옥, 역사)와 같이 ‘육이오 사변’을 ‘사변’으로 쓰기도 한다. 최근에는 ‘육이오 사변’ 대신 ‘한국 전쟁’을 쓰기도 하지만, ‘사변’이라는 말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은 남아 있다고 하겠다. 그 영향인지 몰라도 남녘에서 사변은 많이 쓰이지 않는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오른 ‘사변’ 다섯 개 가운데 최근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말은 사변(思辨)으로 보인다. 이 사변은 주로 ‘사변적 방법, 사변적이다’와 같이 ‘-적’과 함께 쓰인다.

사변에 대한 미묘한 차이는 초기 북녘 사전에서도 확인된다. 1961년에 나온 <조선말사전>에서는 ‘변스러운 사건’, ‘비상한 사건’ 외에 ‘중대한 일’이라는 풀이가 있다. 남녘 사전에서는 최근 사전까지도 부정적인 뜻으로만 풀이한 것과 비교해 볼 때, 북녘에서는 오래전부터 긍정적인 뜻으로도 쓰인 것으로 보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0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6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528
3106 좋음과 나쁨, 제2외국어 교육 風文 2022.07.08 1714
3105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714
3104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715
3103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717
3102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718
3101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719
3100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721
3099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729
3098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729
3097 -분, 카울 風文 2020.05.14 1735
3096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736
3095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737
3094 되갚음 / 윤석열 風文 2020.05.19 1738
3093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746
3092 존맛 風文 2023.06.28 1747
3091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750
3090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754
3089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758
3088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770
3087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風文 2020.06.17 1774
3086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783
3085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7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