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1 01:00

연설

조회 수 683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연설

언어예절

혼자서 큰 소리로 좀 길게 한다는 것 말고는 한 사람 앞에서 하는 얘기든 여럿 앞에서 하는 얘기든 다를 게 없다. 잘하자면 숱한 연습이 따라야 한다. 대선·총선을 거치면서 거리 연설도 들을 터이다. 때와 곳, 청중 따라 화제야 다르겠지만 인사는 비슷하다.

말 첫머리에 다중을 아울러 부르고 시작하는 건 만국의 관례다. 인사말은 ‘반갑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로 단순해져 간다. 한편 “○○○ 여러분! 안녕하십니까?”에서 청중이나 상대 따라 ○○○이 달라진다. 이것이 부름말이다. 아이들은 ‘예!’라고 대답하지만 어른들은 시큰둥 마음으로 답한다.

“여러 동포들/ 나의 사랑하는 삼천만 동포들이여, 친애하는 애국동포 여러분, 친애하는 5천만 동포 여러분/ …/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 북녘땅과 해외에 계시는 동포 여러분, 친애하는 6천만 동포 여러분/ 친애하는 6천만 국내외 동포 여러분/ 친애하는 7천만 동포 여러분/ 존경하고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역대 대통령들 연설에서 나온 부름말들이다.

민족·동포·국민에 사랑·친애·존경하는 등의 모자를 씌워 ‘여러분!’으로 뭉뚱그린다. 말 중간에서는 그냥 ‘국민 여러분’이다. 이승만·윤보선·박정희 대통령은 자신을 ‘나·내’, 최규하·전두환 대통령은 ‘본인’, 노태우 대통령은 ‘저·제’, 김영삼·김대중·노무현 대통령은 ‘저’라고 일컬었으며, 두루 말끝은 ‘합쇼체’로 높였다. 치우친 보기이긴 하나 60여년 사이 형편을 짚을 수 있다.

좀더 마땅한 부름말을 찾는 것도 숙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7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4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034
2622 삼척동자 바람의종 2007.12.12 6850
2621 방편 바람의종 2007.07.07 6851
2620 남새 바람의종 2008.02.18 6852
2619 땡잡다 바람의종 2008.02.23 6852
2618 여우비 바람의종 2009.05.26 6852
2617 뚱딴지같다 바람의종 2008.01.05 6857
2616 비비추 바람의종 2008.04.10 6863
2615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73
2614 사잇길 바람의종 2010.01.18 6874
2613 기지촌 바람의종 2007.06.08 6875
2612 추리닝 바람의종 2009.08.01 6877
2611 여우골과 어린이말 바람의종 2008.01.16 6881
2610 바람의종 2008.03.18 6890
2609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892
2608 처녀치마 바람의종 2008.06.02 6893
2607 야지 바람의종 2008.02.17 6899
2606 납량 바람의종 2009.03.14 6899
2605 안시성과 아골관 바람의종 2008.01.19 6900
2604 무데뽀, 나시, 기라성 바람의종 2008.07.29 6901
2603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905
2602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906
2601 촌지(寸志) 바람의종 2009.03.31 69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