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1 01:00

연설

조회 수 675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연설

언어예절

혼자서 큰 소리로 좀 길게 한다는 것 말고는 한 사람 앞에서 하는 얘기든 여럿 앞에서 하는 얘기든 다를 게 없다. 잘하자면 숱한 연습이 따라야 한다. 대선·총선을 거치면서 거리 연설도 들을 터이다. 때와 곳, 청중 따라 화제야 다르겠지만 인사는 비슷하다.

말 첫머리에 다중을 아울러 부르고 시작하는 건 만국의 관례다. 인사말은 ‘반갑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로 단순해져 간다. 한편 “○○○ 여러분! 안녕하십니까?”에서 청중이나 상대 따라 ○○○이 달라진다. 이것이 부름말이다. 아이들은 ‘예!’라고 대답하지만 어른들은 시큰둥 마음으로 답한다.

“여러 동포들/ 나의 사랑하는 삼천만 동포들이여, 친애하는 애국동포 여러분, 친애하는 5천만 동포 여러분/ …/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 북녘땅과 해외에 계시는 동포 여러분, 친애하는 6천만 동포 여러분/ 친애하는 6천만 국내외 동포 여러분/ 친애하는 7천만 동포 여러분/ 존경하고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역대 대통령들 연설에서 나온 부름말들이다.

민족·동포·국민에 사랑·친애·존경하는 등의 모자를 씌워 ‘여러분!’으로 뭉뚱그린다. 말 중간에서는 그냥 ‘국민 여러분’이다. 이승만·윤보선·박정희 대통령은 자신을 ‘나·내’, 최규하·전두환 대통령은 ‘본인’, 노태우 대통령은 ‘저·제’, 김영삼·김대중·노무현 대통령은 ‘저’라고 일컬었으며, 두루 말끝은 ‘합쇼체’로 높였다. 치우친 보기이긴 하나 60여년 사이 형편을 짚을 수 있다.

좀더 마땅한 부름말을 찾는 것도 숙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6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682
356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021
355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5917
354 장보고·논복 바람의종 2008.05.29 8721
353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15
352 차별1 바람의종 2008.05.27 7074
351 살피재 바람의종 2008.05.27 7968
350 홀아비바람꽃 바람의종 2008.05.25 8352
349 대장금②·신비 바람의종 2008.05.25 9389
348 소행·애무 바람의종 2008.05.24 8878
347 에두르기 바람의종 2008.05.24 6998
346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041
345 짚신나물 바람의종 2008.05.23 6979
344 대장금①/능금 바람의종 2008.05.22 8218
343 다듬은 말 바람의종 2008.05.22 5609
342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24
341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273
340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476
339 막덕·바리데기 바람의종 2008.05.12 8182
338 사변 바람의종 2008.05.11 5930
» 연설 바람의종 2008.05.11 6756
336 은냇골 이야기 바람의종 2008.05.10 6598
335 둥글레 바람의종 2008.05.10 74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