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0 16:21

은냇골 이야기

조회 수 660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은냇골 이야기

땅이름

땅이름도 사람이 살면서 만들어 놓은 것인 만큼 삶과 관련된 것들이 많다. 오영수의 <은냇골 이야기>는 전설적인 마을인 은냇골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이 소설에는 후손을 이어갈 수 없게 된 은냇골 전설을 배경으로, 머슴살이를 하다가 주인집 조카딸과 눈이 맞아 아이를 갖게 된 김 노인, 형의 노름빚을 갚고자 자신도 노름에 끼어든 뒤 줄행랑을 친 박 생원처럼 숨어살게 된 사람들의 삶이 애절하게 그려져 있다.

이와는 달리 땅이름에 남아 있는 ‘은냇골’ 전설은 대체로 지사적인 면모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조선 때 이름난 선비가 사화(士禍)를 피해 은둔하면서 생긴 이름이 ‘은냇골’이며 ‘은천동’이라는 식이다. ‘은냇골’은 ‘숨다’를 뜻하는 한자어 ‘은’과 토박이말 ‘내’, 그리고 마을을 뜻하는 ‘골’(고을)이 합쳐진 말이다. ‘고을’ 대신에 ‘골짜기’를 뜻하는 ‘골’이 합쳐질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은냇골은 ‘은천동’이나 ‘은천곡’으로 변화한다. 문헌에 나타나는 은천동으로는 <삼국유사> 권5의 혜통 설화가 있다. 혜통은 신라 신문왕 때 스님으로, 사람을 해치는 교룡을 쫓아냈다는 설화의 주인공이다. 그가 살았던 곳이 경주 남산의 은천동이다. 또한 지금의 경상북도 황간면에 합쳐진 ‘청산현’의 ‘은천소’도 이 유형의 땅이름이다. 혜통이 수도하던 땅이 은천이었으며, 백운정을 짓고 은둔하던 땅이 청산현의 은천이다.

은둔하는 선비 이야기든 평범하게 살아가는 민초들의 이야기든 도처에서 발견되는 ‘은내’에는 사람들의 삶과 혼이 배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9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5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362
3106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6994
3105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486
3104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0932
3103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436
3102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14
3101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789
3100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881
3099 강술 바람의종 2010.06.08 9567
3098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264
3097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680
3096 바람의종 2008.09.19 7417
3095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5941
3094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659
3093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024
3092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494
3091 개나발 바람의종 2008.02.21 10230
3090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167
3089 개떡같다 바람의종 2008.02.21 10764
3088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192
3087 개미티 file 바람의종 2009.09.27 6185
3086 개발과 계발 바람의종 2010.11.03 12042
3085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2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