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0 16:21

은냇골 이야기

조회 수 664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은냇골 이야기

땅이름

땅이름도 사람이 살면서 만들어 놓은 것인 만큼 삶과 관련된 것들이 많다. 오영수의 <은냇골 이야기>는 전설적인 마을인 은냇골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이 소설에는 후손을 이어갈 수 없게 된 은냇골 전설을 배경으로, 머슴살이를 하다가 주인집 조카딸과 눈이 맞아 아이를 갖게 된 김 노인, 형의 노름빚을 갚고자 자신도 노름에 끼어든 뒤 줄행랑을 친 박 생원처럼 숨어살게 된 사람들의 삶이 애절하게 그려져 있다.

이와는 달리 땅이름에 남아 있는 ‘은냇골’ 전설은 대체로 지사적인 면모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조선 때 이름난 선비가 사화(士禍)를 피해 은둔하면서 생긴 이름이 ‘은냇골’이며 ‘은천동’이라는 식이다. ‘은냇골’은 ‘숨다’를 뜻하는 한자어 ‘은’과 토박이말 ‘내’, 그리고 마을을 뜻하는 ‘골’(고을)이 합쳐진 말이다. ‘고을’ 대신에 ‘골짜기’를 뜻하는 ‘골’이 합쳐질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은냇골은 ‘은천동’이나 ‘은천곡’으로 변화한다. 문헌에 나타나는 은천동으로는 <삼국유사> 권5의 혜통 설화가 있다. 혜통은 신라 신문왕 때 스님으로, 사람을 해치는 교룡을 쫓아냈다는 설화의 주인공이다. 그가 살았던 곳이 경주 남산의 은천동이다. 또한 지금의 경상북도 황간면에 합쳐진 ‘청산현’의 ‘은천소’도 이 유형의 땅이름이다. 혜통이 수도하던 땅이 은천이었으며, 백운정을 짓고 은둔하던 땅이 청산현의 은천이다.

은둔하는 선비 이야기든 평범하게 살아가는 민초들의 이야기든 도처에서 발견되는 ‘은내’에는 사람들의 삶과 혼이 배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30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821
3106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695
3105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697
3104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700
3103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709
3102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709
3101 좋음과 나쁨, 제2외국어 교육 風文 2022.07.08 1709
3100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711
3099 하룻강아지 / 밥약 風文 2020.05.29 1712
3098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719
3097 -분, 카울 風文 2020.05.14 1722
3096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722
3095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726
3094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731
3093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733
3092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734
3091 되갚음 / 윤석열 風文 2020.05.19 1738
3090 존맛 風文 2023.06.28 1742
3089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742
3088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753
3087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風文 2020.06.17 1769
3086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772
3085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7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