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0 16:19

둥글레

조회 수 753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둥글레

풀꽃이름



날씨가 쌀쌀한데, 생각해 보니 난로 위에서 끓는 주전자의 따뜻한 김을 본 지도 꽤 오래된 듯하다. 주전자에 넣어 끓이던 차들도 이제 간단한 티백으로 바뀌고 정수기 물을 부어 마신다. 요즘 사람들에게 ‘우려내는’ 일은 답답하고 지루할지도 모른다.

‘둥굴레’는 요즘 차로도 많이 마시는데, 뿌리줄기를 우려내면 땅콩같이 고소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신속이 지은 <신간구황촬요>(1660)는 기근 구제법에 관한 책인데, 콩을 물에 불렸다가 짓씹어 먹으라는 내용 등을 보면 무척 마음이 아프다. ‘둥굴레’는 ‘둥구레’로 적었고 무릇과 송피와 함께 고아 먹으라고 썼다. 그래서인지 ‘죽네풀’이라는 별명도 있다.

‘둥굴레’는 말맛과 같이 모양을 본받은 말일 터인데, 잎도 모나지 않고, 동그란 열매가 줄줄이 달려서 ‘둥굴레’라고 이름 붙인 듯하다. 그러나 꽃 모양으로 말미암아 ‘괴불꽃’이라고도 했다. ‘괴불’은 어린아이 주머니 끈 끝에 차는 세모 모양의 조그만 노리개다.

옛사람들이 ‘살고자’ 마셨던 둥굴레의 차맛이 오늘날 ‘별다방’(스타벅스)이나 ‘콩다방’(커피빈스)보다 못하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3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8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800
3106 좋음과 나쁨, 제2외국어 교육 風文 2022.07.08 1736
3105 -분, 카울 風文 2020.05.14 1739
3104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739
3103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741
3102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741
3101 되갚음 / 윤석열 風文 2020.05.19 1743
3100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743
3099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748
3098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751
3097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754
3096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758
3095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風文 2020.06.17 1776
3094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776
3093 존맛 風文 2023.06.28 1776
3092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777
3091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784
3090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787
3089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799
3088 청마 / 고명딸 風文 2020.05.23 1810
3087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810
3086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810
3085 헤로인 / 슈퍼세이브 風文 2020.06.03 18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