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8 14:14

쑥돌·감돌·몽돌

조회 수 1086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쑥돌·감돌·몽돌

땅이름

성종 8년(1477년) 윤필상의 종 熟石(숙석)이 뒷배를 믿고 장리쌀을 빌미로 백성의 재산을 빼앗으니 충청도 관찰사가 죄를 주라 임금께 장계를 올렸다. 조선시대에 화강암은 관악산 화강암처럼 붉은 빛이 도는 ‘익은 돌’(熟石)과 포천 화강암처럼 알갱이가 곱고 흰빛을 띠는 ‘잔돌’(細石=세석), 흑운모가 많아 쑥색이 도는 ‘쑥돌/‘ㅄㅜ돌’(艾石=애석), 세 가지로 나뉘었다. 叔石·叔突(숙석·숙돌)이란 이름은 ‘쑥돌’인 게 분명하다.

‘-돌/돌히’(石乙/乭/乭屎)로 끝나는 사내이름에 돌히/돌이·감돌·강돌·검돌이·고돌·공돌·귀돌·귿돌·금돌·논돌·늦돌·댱돌·둑돌·둔돌·또돌·막돌/막돌히·만돌·먹돌·메돌·몽돌·뭉돌히·복돌·봉돌·붓돌·빙돌·산돌/산돌히·삼돌·새돌이/새돌히·샹돌·셕돌·쇠돌/쇳돌·수돌·쉬돌·시돌·쑥돌·약돌·어늑돌·억돌·오돌·옥돌히·우돌이·원돌·육돌·윤돌·은돌·일돌·장돌·재돌·쟈근돌이·졈돌·조돌·죽돌이·진돌·차돌/차돌히·한돌이·허롱돌·험돌·후돌/훈돌이 있고, 계집이름에 몽돌·옥돌이 있다.

금·은·쇠 따위가 든 돌은 금돌·은돌·쇳돌, 이런 쓸모 있는 광석을 감돌이라고 한다. 옥으로 된 옥돌, 썰물과 밀물에 씻겨 동글납작하게 닳은 바닷가 몽돌, 낚싯바늘이 가라앉도록 낚싯줄 끝에 매다는 봉돌도 이름으로 쓰였다. 커다란 바윗돌이 ‘뭉우리돌’인데 ‘뭉돌’이라고도 한 듯하다. 돌이 있는 곳에 따라 강돌·논돌·둑돌·메돌/산돌이 있는데, 강돌은 강이나 냇물에 닳은 돌로, 고장에 따라서는 호박돌을 이르기도 한다. ‘-돌’로 끝나는 이름은 온통 지질학 용어로, 요즘 되살려 써도 모자람이 없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940
356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117
355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5948
354 장보고·논복 바람의종 2008.05.29 8744
353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18
352 차별1 바람의종 2008.05.27 7094
351 살피재 바람의종 2008.05.27 7996
350 홀아비바람꽃 바람의종 2008.05.25 8430
349 대장금②·신비 바람의종 2008.05.25 9412
348 소행·애무 바람의종 2008.05.24 8889
347 에두르기 바람의종 2008.05.24 7008
346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060
345 짚신나물 바람의종 2008.05.23 7000
344 대장금①/능금 바람의종 2008.05.22 8227
343 다듬은 말 바람의종 2008.05.22 5625
342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42
341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287
340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520
339 막덕·바리데기 바람의종 2008.05.12 8207
338 사변 바람의종 2008.05.11 5947
337 연설 바람의종 2008.05.11 6770
336 은냇골 이야기 바람의종 2008.05.10 6618
335 둥글레 바람의종 2008.05.10 74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