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8 14:12

푸석수염

조회 수 789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푸석수염

북녘말

남북은 ‘겨레말 큰사전’ 편찬에 쓸 새말을 조사하고 있다. 새말이란 최근 들어 만든 말(신어)을 가리킨다. 겨레말큰사전 편찬에서는 국어사전에 미처 실리지 못한 말(미등재어)도 새말에 포함한다. 새말 조사는 2006년부터 시작됐고, 공동 편찬 회의에서는 지금까지 5차에 걸쳐 5000여 새말이 교환됐다. 북녘에서 나온 새말 가운데 ‘푸석수염’이 있다.

“광대뼈가 두드러진 아래로 길쭉하니 내리패인 호물때기 볼에 한도리 감아붙인것 같은 구레나루와 입술이 푹 파묻힌 푸석수염에는 잔고드름들이 그득 매달렸다.”(류근순 <병기창에서>, <조선문학> 1968년 2-3호)

푸석수염은 ‘푸석푸석하게 자란 수염’이다. 이는 ‘푸석푸석한 피부에 거칠게 난 수염 혹은 수염 자체가 푸석푸석한 것’ 등을 함께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푸석’과 관련된 말로 ‘푸석돌·푸석살·푸석이·푸석흙’ 등이 있다. 모두 ‘푸석푸석한 무엇’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북녘에서는 ‘푸석돌’과 같은 뜻의 ‘퍼석돌’도 쓴다. ‘푸석이’는 북녘에서 ‘푸서기’로 쓰고, 물건과 사람을 모두 가리킨다. 곧 ‘부서지기 쉬운 물건’, ‘옹골차지 못한 사람’을 이른다. ‘푸석흙’은 ‘경조토’(輕燥土)를 다듬은 말로 보인다.

‘푸석푸석하다’와 ‘퍼석퍼석하다’는 비슷한 뜻인데, ‘퍼석퍼석하다’는 ‘원래 물기가 좀 있다가 없어진 상태’에 쓰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사과가 퍼석퍼석하다”, “무가 오래되어 퍼석퍼석하고 맛이 없다” 등에서 ‘푸석푸석하다’를 대신 쓰면 좀 어색하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1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6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657
1302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8926
1301 삼수갑산 바람의종 2010.03.07 10062
1300 말빨, 화장빨, 글빨 바람의종 2010.03.07 10207
1299 진작에 바람의종 2010.03.07 7594
1298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75
1297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50
1296 하릴없다와 할 일 없다 바람의종 2010.03.08 13346
1295 동티 바람의종 2010.03.08 10591
1294 축적과 누적 바람의종 2010.03.08 8892
1293 날아왔다 / 날라왔다 바람의종 2010.03.08 10711
1292 홀씨 바람의종 2010.03.09 15266
1291 생때같다 바람의종 2010.03.09 12585
1290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678
1289 겨우내, 가으내 바람의종 2010.03.09 10259
1288 이것 조께 잡사 뵈겨? file 바람의종 2010.03.10 9763
1287 은어와 속어 바람의종 2010.03.10 10857
1286 햇빛은 눈부시고,햇볕은 뜨겁다 바람의종 2010.03.10 10292
1285 한창과 한참 바람의종 2010.03.10 11525
1284 타산지석 바람의종 2010.03.10 10561
1283 이제나저제나 바람의종 2010.03.10 10420
1282 영어로 들어간 우리말 바람의종 2010.03.12 11155
1281 둥개다 바람의종 2010.03.12 118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