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8 14:12

푸석수염

조회 수 8105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푸석수염

북녘말

남북은 ‘겨레말 큰사전’ 편찬에 쓸 새말을 조사하고 있다. 새말이란 최근 들어 만든 말(신어)을 가리킨다. 겨레말큰사전 편찬에서는 국어사전에 미처 실리지 못한 말(미등재어)도 새말에 포함한다. 새말 조사는 2006년부터 시작됐고, 공동 편찬 회의에서는 지금까지 5차에 걸쳐 5000여 새말이 교환됐다. 북녘에서 나온 새말 가운데 ‘푸석수염’이 있다.

“광대뼈가 두드러진 아래로 길쭉하니 내리패인 호물때기 볼에 한도리 감아붙인것 같은 구레나루와 입술이 푹 파묻힌 푸석수염에는 잔고드름들이 그득 매달렸다.”(류근순 <병기창에서>, <조선문학> 1968년 2-3호)

푸석수염은 ‘푸석푸석하게 자란 수염’이다. 이는 ‘푸석푸석한 피부에 거칠게 난 수염 혹은 수염 자체가 푸석푸석한 것’ 등을 함께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푸석’과 관련된 말로 ‘푸석돌·푸석살·푸석이·푸석흙’ 등이 있다. 모두 ‘푸석푸석한 무엇’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북녘에서는 ‘푸석돌’과 같은 뜻의 ‘퍼석돌’도 쓴다. ‘푸석이’는 북녘에서 ‘푸서기’로 쓰고, 물건과 사람을 모두 가리킨다. 곧 ‘부서지기 쉬운 물건’, ‘옹골차지 못한 사람’을 이른다. ‘푸석흙’은 ‘경조토’(輕燥土)를 다듬은 말로 보인다.

‘푸석푸석하다’와 ‘퍼석퍼석하다’는 비슷한 뜻인데, ‘퍼석퍼석하다’는 ‘원래 물기가 좀 있다가 없어진 상태’에 쓰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사과가 퍼석퍼석하다”, “무가 오래되어 퍼석퍼석하고 맛이 없다” 등에서 ‘푸석푸석하다’를 대신 쓰면 좀 어색하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5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1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015
334 쑥돌·감돌·몽돌 바람의종 2008.05.08 10923
» 푸석수염 바람의종 2008.05.08 8105
332 보도자료 바람의종 2008.05.06 4419
331 소와리골 바람의종 2008.05.06 7187
330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7106
329 금덩이·은덩이 바람의종 2008.05.05 10652
328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556
327 떡값 바람의종 2008.05.03 6973
326 실레마을과 시루 바람의종 2008.05.03 7853
325 다정큼나무 바람의종 2008.05.01 8981
324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576
323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347
322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945
321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621
320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417
319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311
318 예비 바람의종 2008.04.28 7734
317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414
316 공암진 바람의종 2008.04.27 7810
315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852
314 오마대·기림대·오고타이 바람의종 2008.04.26 7786
313 설둥하다 바람의종 2008.04.25 72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