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8 14:12

푸석수염

조회 수 8016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푸석수염

북녘말

남북은 ‘겨레말 큰사전’ 편찬에 쓸 새말을 조사하고 있다. 새말이란 최근 들어 만든 말(신어)을 가리킨다. 겨레말큰사전 편찬에서는 국어사전에 미처 실리지 못한 말(미등재어)도 새말에 포함한다. 새말 조사는 2006년부터 시작됐고, 공동 편찬 회의에서는 지금까지 5차에 걸쳐 5000여 새말이 교환됐다. 북녘에서 나온 새말 가운데 ‘푸석수염’이 있다.

“광대뼈가 두드러진 아래로 길쭉하니 내리패인 호물때기 볼에 한도리 감아붙인것 같은 구레나루와 입술이 푹 파묻힌 푸석수염에는 잔고드름들이 그득 매달렸다.”(류근순 <병기창에서>, <조선문학> 1968년 2-3호)

푸석수염은 ‘푸석푸석하게 자란 수염’이다. 이는 ‘푸석푸석한 피부에 거칠게 난 수염 혹은 수염 자체가 푸석푸석한 것’ 등을 함께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푸석’과 관련된 말로 ‘푸석돌·푸석살·푸석이·푸석흙’ 등이 있다. 모두 ‘푸석푸석한 무엇’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북녘에서는 ‘푸석돌’과 같은 뜻의 ‘퍼석돌’도 쓴다. ‘푸석이’는 북녘에서 ‘푸서기’로 쓰고, 물건과 사람을 모두 가리킨다. 곧 ‘부서지기 쉬운 물건’, ‘옹골차지 못한 사람’을 이른다. ‘푸석흙’은 ‘경조토’(輕燥土)를 다듬은 말로 보인다.

‘푸석푸석하다’와 ‘퍼석퍼석하다’는 비슷한 뜻인데, ‘퍼석퍼석하다’는 ‘원래 물기가 좀 있다가 없어진 상태’에 쓰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사과가 퍼석퍼석하다”, “무가 오래되어 퍼석퍼석하고 맛이 없다” 등에서 ‘푸석푸석하다’를 대신 쓰면 좀 어색하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9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6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496
3106 효시 바람의종 2007.10.08 13613
3105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831
3104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520
3103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716
310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327
3101 얼과 넋 바람의종 2007.10.10 8589
3100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242
3099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433
3098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254
3097 새말 만들기 바람의종 2007.10.12 7843
3096 (공장)부지 바람의종 2007.10.13 7773
3095 ‘우거지붙이’ 말 바람의종 2007.10.13 10710
3094 기라성 바람의종 2007.10.14 7632
3093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366
3092 납득하다 바람의종 2007.10.16 9356
3091 방언은 모국어다 바람의종 2007.10.16 8953
3090 단수 정리 바람의종 2007.10.17 16346
3089 청소년의 새말 바람의종 2007.10.17 11297
3088 대합실 바람의종 2007.10.18 8914
3087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9105
3086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386
3085 분루 바람의종 2007.10.19 111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