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6 12:06

보도자료

조회 수 439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보도자료

언어예절

관청·정당·기업·사회단체 두루 자체 행사나 용무, 업적을 알리거나 밝혀야 할 일이 많다. 기업체는 상품이 나왔음을 알리거나 회사 선전·홍보가 큰 일거리인데, 이쪽은 ‘광고’로 갈래를 잡았다. 간추린 보고, 요약 보고로 일컫는 브리핑도 알림의 한 방식이다. 관청이나 단체에서 대변인이란 사람이 나와 그냥 적어온 글을 읽는 때가 많다. 왜 말로 하지 않는 것일까? 또 친절하게도 글로 요약한 것을 ‘보도자료’란 이름으로 낸다. 이 알림도 특이한 관행과 틀로 굳어져 가는 듯하다. 그 문투는 신문기사를 닮았는데, 아마도 언론사의 수고를 들어주고자 그런 방식을 택한 듯하다. 관행이야 그렇다 해도 그 서술 문투를 뜯어보면 ‘아니올시다’다.

“검찰총장 내정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있었다). 내일 오전 중으로 법사위원들의 의견을 듣고, 원내대표단에서 결정을 (하겠다). 신중하게, 하지만 냉철하게 (결정하겠다).” “삼성전자는 … 거대 신흥 시장인 인도에 현지 생산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인도·서남아 이머징마켓 공략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한 정당과 기업의 보도자료 한 구절이다.

우선 누가 누구에게 말하는지가 불확실하다. 국민·소비자·손님 또는 기자들에게 하는 말인데도 도무지 ‘해라 마라, 이렇다 저렇다’ 식이다. ‘해라체’는 사건·소식을 전달하는 기사에서나 쓸 일이다. 아무리 기형적인 형식이라지만 격은 지켜야 말이 통한다. 보도자료의 적절한 종결토는 ‘합쇼체’(습니다/입니다 따위)다. 흔히 내는 성명도 그렇다. 무슨 일이든 지나침은 모자람만 못하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338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229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239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350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34
310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222
31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452
31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345
309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229
3098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990
3097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789
3096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936
309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922
3094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932
309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878
309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855
3091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183
309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113
3089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880
3088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820
308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831
3086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967
308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8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