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6 12:04

소와리골

조회 수 7134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와리골

땅이름

김유정은 스물아홉 젊은 나이에 세상을 뜬 토속 작가다. 그래서 그런지 안성 쪽 박두진 문학관이나 경주의 김동리 문학관과 대비할 때, 그의 생가를 배경으로 조성된 유정 문학관은 화려함보다는 소박함을 느낄 수 있다.

그의 작품은 <봄봄> <동백꽃> <소낙비> <만무방>과 같이 제목에서부터 정감을 드러낸다. “제-미 키두. 개돼지는 푹푹 크는데 왜 이리도 사람은 안 크는지.” 딸이 크면 성례를 올려 주겠다는 마름의 말을 믿고 데릴사위 노릇을 하는 <봄봄>의 ‘나’가 뱉어놓은 바보 같은 중얼거림에서 우리는 안타까움보다는 부드럽고 상큼한 웃음을 지어낼 수 있다. 이런 김유정의 문학을 키워낸 바탕에는 그가 살았던 마을과 순박한 사람들이 있었다. 그의 마을 뒷산에는 유정이 다녔음직한 골짜기와 고개가 한눈에 보이는데, 이들 산에는 소나무·갈나무·생강나무 등이 아름답게 자란다.

‘소와리골’도 유정의 뒷산에 있는 골짜기의 하나다. ‘소와리’는 ‘송화’가 변한 말이라고 하는데, 어쩌면 ‘소아리’를 뜻하는 말일 수도 있다. ‘소아리’는 사전에 실리지 않은 강원도 토박이말로 ‘잎이 많은 소나무 가지’를 뜻하는 말이다. 이 말은 ‘소나무’를 뜻하는 ‘솔’에 ‘아지’ 계통의 ‘아리’가 붙어 된 말로, 어린 소나무일수록 잎이 짙고 무성하다. 늦가을이나 이른 봄에 시간이 날 때면, 담장 대신 소아리를 베어다 울타리를 만들던 풍습이 사라진 지 오래 되었는데, 유정의 문학지도에 ‘소와리골’은 토속어 ‘소아리’의 쓰임새를 생각하게 하는 그림이라고 할 만하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9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4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454
356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128
355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5948
354 장보고·논복 바람의종 2008.05.29 8744
353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19
352 차별1 바람의종 2008.05.27 7097
351 살피재 바람의종 2008.05.27 7996
350 홀아비바람꽃 바람의종 2008.05.25 8438
349 대장금②·신비 바람의종 2008.05.25 9415
348 소행·애무 바람의종 2008.05.24 8896
347 에두르기 바람의종 2008.05.24 7014
346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076
345 짚신나물 바람의종 2008.05.23 7005
344 대장금①/능금 바람의종 2008.05.22 8237
343 다듬은 말 바람의종 2008.05.22 5630
342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47
341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292
340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533
339 막덕·바리데기 바람의종 2008.05.12 8219
338 사변 바람의종 2008.05.11 5960
337 연설 바람의종 2008.05.11 6779
336 은냇골 이야기 바람의종 2008.05.10 6618
335 둥글레 바람의종 2008.05.10 74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