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6 12:04

소와리골

조회 수 715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와리골

땅이름

김유정은 스물아홉 젊은 나이에 세상을 뜬 토속 작가다. 그래서 그런지 안성 쪽 박두진 문학관이나 경주의 김동리 문학관과 대비할 때, 그의 생가를 배경으로 조성된 유정 문학관은 화려함보다는 소박함을 느낄 수 있다.

그의 작품은 <봄봄> <동백꽃> <소낙비> <만무방>과 같이 제목에서부터 정감을 드러낸다. “제-미 키두. 개돼지는 푹푹 크는데 왜 이리도 사람은 안 크는지.” 딸이 크면 성례를 올려 주겠다는 마름의 말을 믿고 데릴사위 노릇을 하는 <봄봄>의 ‘나’가 뱉어놓은 바보 같은 중얼거림에서 우리는 안타까움보다는 부드럽고 상큼한 웃음을 지어낼 수 있다. 이런 김유정의 문학을 키워낸 바탕에는 그가 살았던 마을과 순박한 사람들이 있었다. 그의 마을 뒷산에는 유정이 다녔음직한 골짜기와 고개가 한눈에 보이는데, 이들 산에는 소나무·갈나무·생강나무 등이 아름답게 자란다.

‘소와리골’도 유정의 뒷산에 있는 골짜기의 하나다. ‘소와리’는 ‘송화’가 변한 말이라고 하는데, 어쩌면 ‘소아리’를 뜻하는 말일 수도 있다. ‘소아리’는 사전에 실리지 않은 강원도 토박이말로 ‘잎이 많은 소나무 가지’를 뜻하는 말이다. 이 말은 ‘소나무’를 뜻하는 ‘솔’에 ‘아지’ 계통의 ‘아리’가 붙어 된 말로, 어린 소나무일수록 잎이 짙고 무성하다. 늦가을이나 이른 봄에 시간이 날 때면, 담장 대신 소아리를 베어다 울타리를 만들던 풍습이 사라진 지 오래 되었는데, 유정의 문학지도에 ‘소와리골’은 토속어 ‘소아리’의 쓰임새를 생각하게 하는 그림이라고 할 만하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5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2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128
1962 못지않다, 못지 않다 / 마지않다, 마지 않다 바람의종 2009.03.25 16646
1961 넌지시, 넌즈시 바람의종 2009.03.25 10927
1960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64
1959 ~에 대해, ~에 관해 바람의종 2009.03.26 10821
1958 한번, 한 번 바람의종 2009.03.26 7721
1957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43
1956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680
1955 따 놓은 당상 바람의종 2009.03.27 7975
1954 트레킹, 트래킹 바람의종 2009.03.27 8761
1953 '이/가' '을/를' 바람의종 2009.03.27 5620
1952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266
1951 함께하다/ 함께 하다, 대신하다/ 대신 하다 바람의종 2009.03.29 14517
1950 복합어와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9 12446
1949 복합어와 띄어쓰기 2 바람의종 2009.03.29 8611
1948 복합어와 띄어쓰기 3 바람의종 2009.03.29 10543
1947 딴죽, 딴지 / 부비디, 비비다 바람의종 2009.03.29 10537
1946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707
1945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57
1944 야트막하다, 낮으막하다, 나지막하다 바람의종 2009.03.30 11879
1943 임대와 임차 바람의종 2009.03.30 7866
1942 ~되겠, ~되세 바람의종 2009.03.30 6628
1941 집이 갔슴둥? 바람의종 2009.03.31 69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