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6 12:04

소와리골

조회 수 7161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와리골

땅이름

김유정은 스물아홉 젊은 나이에 세상을 뜬 토속 작가다. 그래서 그런지 안성 쪽 박두진 문학관이나 경주의 김동리 문학관과 대비할 때, 그의 생가를 배경으로 조성된 유정 문학관은 화려함보다는 소박함을 느낄 수 있다.

그의 작품은 <봄봄> <동백꽃> <소낙비> <만무방>과 같이 제목에서부터 정감을 드러낸다. “제-미 키두. 개돼지는 푹푹 크는데 왜 이리도 사람은 안 크는지.” 딸이 크면 성례를 올려 주겠다는 마름의 말을 믿고 데릴사위 노릇을 하는 <봄봄>의 ‘나’가 뱉어놓은 바보 같은 중얼거림에서 우리는 안타까움보다는 부드럽고 상큼한 웃음을 지어낼 수 있다. 이런 김유정의 문학을 키워낸 바탕에는 그가 살았던 마을과 순박한 사람들이 있었다. 그의 마을 뒷산에는 유정이 다녔음직한 골짜기와 고개가 한눈에 보이는데, 이들 산에는 소나무·갈나무·생강나무 등이 아름답게 자란다.

‘소와리골’도 유정의 뒷산에 있는 골짜기의 하나다. ‘소와리’는 ‘송화’가 변한 말이라고 하는데, 어쩌면 ‘소아리’를 뜻하는 말일 수도 있다. ‘소아리’는 사전에 실리지 않은 강원도 토박이말로 ‘잎이 많은 소나무 가지’를 뜻하는 말이다. 이 말은 ‘소나무’를 뜻하는 ‘솔’에 ‘아지’ 계통의 ‘아리’가 붙어 된 말로, 어린 소나무일수록 잎이 짙고 무성하다. 늦가을이나 이른 봄에 시간이 날 때면, 담장 대신 소아리를 베어다 울타리를 만들던 풍습이 사라진 지 오래 되었는데, 유정의 문학지도에 ‘소와리골’은 토속어 ‘소아리’의 쓰임새를 생각하게 하는 그림이라고 할 만하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6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233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224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230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342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27
310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219
31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448
31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340
309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226
3098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980
3097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784
3096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936
309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922
3094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919
309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870
309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851
3091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183
309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110
3089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875
3088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818
308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825
3086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964
308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8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