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6 12:04

소와리골

조회 수 7143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와리골

땅이름

김유정은 스물아홉 젊은 나이에 세상을 뜬 토속 작가다. 그래서 그런지 안성 쪽 박두진 문학관이나 경주의 김동리 문학관과 대비할 때, 그의 생가를 배경으로 조성된 유정 문학관은 화려함보다는 소박함을 느낄 수 있다.

그의 작품은 <봄봄> <동백꽃> <소낙비> <만무방>과 같이 제목에서부터 정감을 드러낸다. “제-미 키두. 개돼지는 푹푹 크는데 왜 이리도 사람은 안 크는지.” 딸이 크면 성례를 올려 주겠다는 마름의 말을 믿고 데릴사위 노릇을 하는 <봄봄>의 ‘나’가 뱉어놓은 바보 같은 중얼거림에서 우리는 안타까움보다는 부드럽고 상큼한 웃음을 지어낼 수 있다. 이런 김유정의 문학을 키워낸 바탕에는 그가 살았던 마을과 순박한 사람들이 있었다. 그의 마을 뒷산에는 유정이 다녔음직한 골짜기와 고개가 한눈에 보이는데, 이들 산에는 소나무·갈나무·생강나무 등이 아름답게 자란다.

‘소와리골’도 유정의 뒷산에 있는 골짜기의 하나다. ‘소와리’는 ‘송화’가 변한 말이라고 하는데, 어쩌면 ‘소아리’를 뜻하는 말일 수도 있다. ‘소아리’는 사전에 실리지 않은 강원도 토박이말로 ‘잎이 많은 소나무 가지’를 뜻하는 말이다. 이 말은 ‘소나무’를 뜻하는 ‘솔’에 ‘아지’ 계통의 ‘아리’가 붙어 된 말로, 어린 소나무일수록 잎이 짙고 무성하다. 늦가을이나 이른 봄에 시간이 날 때면, 담장 대신 소아리를 베어다 울타리를 만들던 풍습이 사라진 지 오래 되었는데, 유정의 문학지도에 ‘소와리골’은 토속어 ‘소아리’의 쓰임새를 생각하게 하는 그림이라고 할 만하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2865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4385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31May
    by 바람의종
    2008/05/31 by 바람의종
    Views 11164 

    흙성과 가린여흘

  5. 참꽃마리

  6. No Image 29May
    by 바람의종
    2008/05/29 by 바람의종
    Views 8746 

    장보고·논복

  7. No Image 27May
    by 바람의종
    2008/05/27 by 바람의종
    Views 8142 

    열 딸라

  8. No Image 27May
    by 바람의종
    2008/05/27 by 바람의종
    Views 7105 

    차별1

  9. 살피재

  10. 홀아비바람꽃

  11. No Image 25May
    by 바람의종
    2008/05/25 by 바람의종
    Views 9435 

    대장금②·신비

  12. No Image 24May
    by 바람의종
    2008/05/24 by 바람의종
    Views 8904 

    소행·애무

  13. No Image 24May
    by 바람의종
    2008/05/24 by 바람의종
    Views 7014 

    에두르기

  14. No Image 23May
    by 바람의종
    2008/05/23 by 바람의종
    Views 8079 

    수자리와 정지

  15. 짚신나물

  16. No Image 22May
    by 바람의종
    2008/05/22 by 바람의종
    Views 8246 

    대장금①/능금

  17. No Image 22May
    by 바람의종
    2008/05/22 by 바람의종
    Views 5649 

    다듬은 말

  18. No Image 13May
    by 바람의종
    2008/05/13 by 바람의종
    Views 7368 

    군말

  19. No Image 13May
    by 바람의종
    2008/05/13 by 바람의종
    Views 7299 

    사리원과 원효

  20. No Image 12May
    by 바람의종
    2008/05/12 by 바람의종
    Views 6569 

    갈대

  21. No Image 12May
    by 바람의종
    2008/05/12 by 바람의종
    Views 8229 

    막덕·바리데기

  22. No Image 11May
    by 바람의종
    2008/05/11 by 바람의종
    Views 5971 

    사변

  23. No Image 11May
    by 바람의종
    2008/05/11 by 바람의종
    Views 6781 

    연설

  24. No Image 10May
    by 바람의종
    2008/05/10 by 바람의종
    Views 6622 

    은냇골 이야기

  25. 둥글레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