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5 16:33

벌개미취

조회 수 7089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벌개미취

풀꽃이름
 



 



꽃값이 비싸다 싸다 얘기하지만, 어버이날이나 졸업식날 등 특별한 날을 빼고는 한결같다. 여름에는 싸지만 금방 피었다 시들고, 겨울에는 비싸지만 오래 볼 수 있으니 결국 시간당 누리는 꽃값은 같다. 엊그제 외국인 학생들의 한국어 과정 수료식을 마치고 국화꽃다발을 선물로 받았는데, 그 중에 보니 ‘벌개미취’도 들어 있다. 우연으로 그랬겠지만 서양식 꽃말이 ‘그대를 잊지 않으리!’라니 고맙다.

‘벌개미취’에서 ‘벌’은 ‘넓은 벌 동쪽 끝으로~’에 나오는 그 벌이다. ‘벌노랑이/ 벌씀바귀’처럼 들판에 나는 풀꽃 이름에 붙인다. ‘개미’는 꽃잎 하나 하나가 개미를 닮은 듯하고, ‘취’는 어린잎을 나물로 먹기애 붙었다. ‘벌개미취’는 사는 데, 생긴 모양, 쓰임이 두루 어울린 이름이다.

미국 도시이름 ‘시애틀’은 본디 원주민 추장 이름이었다고 한다. ‘합법적’으로 헐값에 땅을 팔라는 그쪽 대통령의 제안에 시애틀 추장은 “우리가 어떻게 공기와 시냇물을 소유할 수 있으며, 소유하지도 않은 것을 사고 판다는 말인가?” 하고 반문했다. 더욱이 ‘들꽃은 우리 누이고, 말과 독수리는 우리 형제’라고 했다니, 시애틀 추장이 보기에 벌판에 있는 꽃을 꺾어 파는 일은 얼마나 가슴 아픈 일일까.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7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23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140
1896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730
1895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322
1894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26
1893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997
1892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743
1891 서툴러와 서툴어 바람의종 2010.09.08 11773
1890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601
1889 서울 風磬 2007.01.19 7523
1888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바람의종 2012.11.30 21085
1887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283
1886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637
1885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8119
1884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66
1883 서낭당 風磬 2006.12.29 8032
1882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330
1881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843
1880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966
1879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55
1878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80
1877 생선, 생파 바람의종 2010.11.16 11332
1876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314
1875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