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3 17:04

실레마을과 시루

조회 수 7867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실레마을과 시루

땅이름

김유정이 태어난 마을 이름은 실레마을이다. 한자어로는 ‘증리’(甑里)라 하니 이는 곧 떡을 찌는 ‘시루’를 뜻한다. 김유정은 “춘천읍에서 한 이십리 가량 산을 끼고 꼬불꼬불 돌아 들어가면 내닫는 조그만 마을”로 “앞뒤 좌우에 굵직굵직한 산들이 빽 둘러섰고 그 속에 묻힌 아득한 마을로 그 산에 묻힌 모양이 마치 옴팍한 떡시루 같다 하여 동명을 실레라 부른다”라고 묘사하였다.

땅이름 가운데는 땅의 모양에서 생겨난 것들이 많다. 실레마을이 시루를 닮은 데서 비롯된 것처럼 시루를 닮은 산을 ‘시루뫼’ 또는 ‘증봉’, ‘증산’이라고 부른다. ‘시루봉’은 분지를 이룬 마을에서는 비교적 자주 발견되며, 시루의 방언인 ‘시리’, ‘실리’, ‘실기’, ‘슬구’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시루의 겉모습이 둥긋한 데 비해 시루의 안쪽은 옴팍하게 파여 있으니, 김유정의 고향 마을처럼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을 ‘실레’라 하는 것도 자연스럽다.

“집이라야 대개 쓰러질 듯한 헌 초가요, 그나마도 오십 호밖에 못 되는 빈약한 촌” 마을인 실레마을에서 “주위가 이렇게 시적이니만치 그들의 생활도 어디인가 시적이고 어수룩하고 꾸밈이 없다”는 김유정의 <봄봄> 마을.

땅이름은 사람이 붙인 것이지만, 사람들은 다시 그 이름을 닮아가며 살아간다. 생강나무를 동백꽃이라 하고, 지주와 빚쟁이들이 무서워 제 논의 벼를 수확하지 못한 채 몰래 베어 먹어야 하는 동생을 위해 밤새 도둑을 지키는 형을 ‘만무방’(염치없이 막돼먹은 사람)이라 부르는 순박함이 실레마을 사람들의 이야기였음을 김유정의 작품에서 읽어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3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9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727
1368 신병 바람의종 2007.10.21 7199
1367 신병, 신변 바람의종 2010.07.18 10932
1366 신장이 좋다? 바람의종 2011.01.30 11322
1365 신청·청구 바람의종 2009.07.28 8462
1364 신토불이 바람의종 2008.10.30 7447
1363 실구디·실구지 바람의종 2008.06.16 7871
1362 실내체육관의 주소지 바람의종 2009.11.19 7813
1361 실랑이 바람의종 2009.12.04 9007
1360 실랑이와 승강이 바람의종 2010.04.24 10550
» 실레마을과 시루 바람의종 2008.05.03 7867
1358 실버 바람의종 2010.05.05 9022
1357 실업난 바람의종 2009.02.04 8620
1356 실용글 바람의종 2008.08.11 4869
1355 심금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9 13228
1354 심심파적 바람의종 2007.05.15 9893
1353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바람의종 2009.05.01 14729
1352 십상이다 바람의종 2007.05.16 7023
1351 십상이다 바람의종 2010.08.11 14426
1350 십팔번 바람의종 2007.10.22 7076
1349 십팔번, 가라오케 바람의종 2008.09.29 7149
1348 싸게 가더라고! 바람의종 2009.10.01 7621
1347 싸다 바람의종 2008.04.07 69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