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3 17:04

실레마을과 시루

조회 수 7783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실레마을과 시루

땅이름

김유정이 태어난 마을 이름은 실레마을이다. 한자어로는 ‘증리’(甑里)라 하니 이는 곧 떡을 찌는 ‘시루’를 뜻한다. 김유정은 “춘천읍에서 한 이십리 가량 산을 끼고 꼬불꼬불 돌아 들어가면 내닫는 조그만 마을”로 “앞뒤 좌우에 굵직굵직한 산들이 빽 둘러섰고 그 속에 묻힌 아득한 마을로 그 산에 묻힌 모양이 마치 옴팍한 떡시루 같다 하여 동명을 실레라 부른다”라고 묘사하였다.

땅이름 가운데는 땅의 모양에서 생겨난 것들이 많다. 실레마을이 시루를 닮은 데서 비롯된 것처럼 시루를 닮은 산을 ‘시루뫼’ 또는 ‘증봉’, ‘증산’이라고 부른다. ‘시루봉’은 분지를 이룬 마을에서는 비교적 자주 발견되며, 시루의 방언인 ‘시리’, ‘실리’, ‘실기’, ‘슬구’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시루의 겉모습이 둥긋한 데 비해 시루의 안쪽은 옴팍하게 파여 있으니, 김유정의 고향 마을처럼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을 ‘실레’라 하는 것도 자연스럽다.

“집이라야 대개 쓰러질 듯한 헌 초가요, 그나마도 오십 호밖에 못 되는 빈약한 촌” 마을인 실레마을에서 “주위가 이렇게 시적이니만치 그들의 생활도 어디인가 시적이고 어수룩하고 꾸밈이 없다”는 김유정의 <봄봄> 마을.

땅이름은 사람이 붙인 것이지만, 사람들은 다시 그 이름을 닮아가며 살아간다. 생강나무를 동백꽃이라 하고, 지주와 빚쟁이들이 무서워 제 논의 벼를 수확하지 못한 채 몰래 베어 먹어야 하는 동생을 위해 밤새 도둑을 지키는 형을 ‘만무방’(염치없이 막돼먹은 사람)이라 부르는 순박함이 실레마을 사람들의 이야기였음을 김유정의 작품에서 읽어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6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3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209
2094 명태, 이면수/임연수 바람의종 2008.07.06 11128
2093 명태의 이름 바람의종 2010.05.05 10584
2092 몇과 수 바람의종 2010.10.11 7847
2091 몇일, 며칠 바람의종 2008.09.26 6716
2090 모기버섯, 봉양버섯 바람의종 2009.11.19 13668
2089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409
2088 모둠, 모듬 바람의종 2009.10.08 10126
2087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682
2086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45
2085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29
2084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637
2083 모밀국수 바람의종 2009.02.12 6326
2082 모밀국수, 메밀국수, 소바 바람의종 2009.08.07 9924
2081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827
2080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330
2079 모아지다 바람의종 2008.11.25 7533
2078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892
2077 모자르다, 모자라다, 모잘라, 모자른, 모잘른 바람의종 2010.06.01 25322
2076 모하구로? 바람의종 2009.06.11 5885
2075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320
2074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865
2073 목재가구 / 목제가구 바람의종 2009.11.23 132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