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3 17:04

실레마을과 시루

조회 수 7797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실레마을과 시루

땅이름

김유정이 태어난 마을 이름은 실레마을이다. 한자어로는 ‘증리’(甑里)라 하니 이는 곧 떡을 찌는 ‘시루’를 뜻한다. 김유정은 “춘천읍에서 한 이십리 가량 산을 끼고 꼬불꼬불 돌아 들어가면 내닫는 조그만 마을”로 “앞뒤 좌우에 굵직굵직한 산들이 빽 둘러섰고 그 속에 묻힌 아득한 마을로 그 산에 묻힌 모양이 마치 옴팍한 떡시루 같다 하여 동명을 실레라 부른다”라고 묘사하였다.

땅이름 가운데는 땅의 모양에서 생겨난 것들이 많다. 실레마을이 시루를 닮은 데서 비롯된 것처럼 시루를 닮은 산을 ‘시루뫼’ 또는 ‘증봉’, ‘증산’이라고 부른다. ‘시루봉’은 분지를 이룬 마을에서는 비교적 자주 발견되며, 시루의 방언인 ‘시리’, ‘실리’, ‘실기’, ‘슬구’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시루의 겉모습이 둥긋한 데 비해 시루의 안쪽은 옴팍하게 파여 있으니, 김유정의 고향 마을처럼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을 ‘실레’라 하는 것도 자연스럽다.

“집이라야 대개 쓰러질 듯한 헌 초가요, 그나마도 오십 호밖에 못 되는 빈약한 촌” 마을인 실레마을에서 “주위가 이렇게 시적이니만치 그들의 생활도 어디인가 시적이고 어수룩하고 꾸밈이 없다”는 김유정의 <봄봄> 마을.

땅이름은 사람이 붙인 것이지만, 사람들은 다시 그 이름을 닮아가며 살아간다. 생강나무를 동백꽃이라 하고, 지주와 빚쟁이들이 무서워 제 논의 벼를 수확하지 못한 채 몰래 베어 먹어야 하는 동생을 위해 밤새 도둑을 지키는 형을 ‘만무방’(염치없이 막돼먹은 사람)이라 부르는 순박함이 실레마을 사람들의 이야기였음을 김유정의 작품에서 읽어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7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1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049
2094 두더지 바람의종 2008.12.15 6420
2093 금세, 금새 / 여태, 입때 / 늘상, 항상 바람의종 2008.12.15 14012
2092 앙징맞다 / 한자어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08.12.15 10709
2091 좀체로, 의례적 바람의종 2008.12.15 17114
2090 별명 바람의종 2008.12.17 6542
2089 접수, 제출 바람의종 2008.12.17 9737
2088 오손도손, 단촐하다 바람의종 2008.12.17 11758
2087 뀌띰, 괜시레 바람의종 2008.12.17 9695
2086 보로미 바람의종 2008.12.18 7157
2085 ‘자꾸’와 ‘지퍼’ 바람의종 2008.12.18 8185
2084 옥석구분 바람의종 2008.12.18 8013
2083 상채기, 상흔, 생재기 바람의종 2008.12.18 9880
2082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55
2081 사자 바람의종 2008.12.26 5833
2080 법대로 바람의종 2008.12.26 5487
2079 승패, 성패 바람의종 2008.12.26 8999
2078 운명, 유명 바람의종 2008.12.26 8934
2077 지리하다,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8.12.26 10873
2076 니서껀 내서껀 바람의종 2008.12.27 6953
2075 쌓인, 싸인 바람의종 2008.12.27 23245
2074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610
2073 늑장, 늦장/터뜨리다, 터트리다/가뭄, 가물 바람의종 2008.12.27 139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