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3 17:04

실레마을과 시루

조회 수 7792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실레마을과 시루

땅이름

김유정이 태어난 마을 이름은 실레마을이다. 한자어로는 ‘증리’(甑里)라 하니 이는 곧 떡을 찌는 ‘시루’를 뜻한다. 김유정은 “춘천읍에서 한 이십리 가량 산을 끼고 꼬불꼬불 돌아 들어가면 내닫는 조그만 마을”로 “앞뒤 좌우에 굵직굵직한 산들이 빽 둘러섰고 그 속에 묻힌 아득한 마을로 그 산에 묻힌 모양이 마치 옴팍한 떡시루 같다 하여 동명을 실레라 부른다”라고 묘사하였다.

땅이름 가운데는 땅의 모양에서 생겨난 것들이 많다. 실레마을이 시루를 닮은 데서 비롯된 것처럼 시루를 닮은 산을 ‘시루뫼’ 또는 ‘증봉’, ‘증산’이라고 부른다. ‘시루봉’은 분지를 이룬 마을에서는 비교적 자주 발견되며, 시루의 방언인 ‘시리’, ‘실리’, ‘실기’, ‘슬구’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시루의 겉모습이 둥긋한 데 비해 시루의 안쪽은 옴팍하게 파여 있으니, 김유정의 고향 마을처럼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을 ‘실레’라 하는 것도 자연스럽다.

“집이라야 대개 쓰러질 듯한 헌 초가요, 그나마도 오십 호밖에 못 되는 빈약한 촌” 마을인 실레마을에서 “주위가 이렇게 시적이니만치 그들의 생활도 어디인가 시적이고 어수룩하고 꾸밈이 없다”는 김유정의 <봄봄> 마을.

땅이름은 사람이 붙인 것이지만, 사람들은 다시 그 이름을 닮아가며 살아간다. 생강나무를 동백꽃이라 하고, 지주와 빚쟁이들이 무서워 제 논의 벼를 수확하지 못한 채 몰래 베어 먹어야 하는 동생을 위해 밤새 도둑을 지키는 형을 ‘만무방’(염치없이 막돼먹은 사람)이라 부르는 순박함이 실레마을 사람들의 이야기였음을 김유정의 작품에서 읽어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30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821
2094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7920
2093 까탈맞다,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09.09.29 7920
2092 자장면 곱빼기 바람의종 2008.05.29 7921
2091 동포, 교포 바람의종 2008.10.04 7922
2090 메가폰과 마이크 바람의종 2010.01.10 7924
2089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924
2088 우레, 우뢰 바람의종 2009.08.02 7924
2087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925
2086 어미 ‘-네’와 ‘-군’ 바람의종 2010.11.01 7926
2085 바람의종 2009.07.31 7928
2084 나그내 file 바람의종 2009.11.03 7931
2083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931
2082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32
2081 비만인 사람, 비만이다 바람의종 2009.09.29 7933
2080 매발톱꽃 바람의종 2008.03.16 7936
2079 늘이다 / 늘리다 바람의종 2008.05.22 7937
2078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44
2077 마초 바람의종 2010.03.14 7944
2076 영부인 바람의종 2007.08.09 7946
2075 백넘버, 노게임 바람의종 2011.11.13 7949
2074 늦깎이 바람의종 2010.10.11 7953
2073 보약 다리기 바람의종 2008.09.25 79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