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1 13:51

다정큼나무

조회 수 8857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정큼나무
 




 


‘다정큼나무’는 이름이 정말 정겨운데, 뭐가 그리 다정한 것일까? 바닷가 따뜻한 곳에서 늦여름에 하얀 꽃이 오밀조밀 모여 피는 모습이나, 가을에 까만 열매가 옹기종기 열린 모습을 보면, 한 가지에서 다정하게 꽃을 피우다 여러 열매를 맺는 까닭에 붙은 이름인 듯하다. ‘다정큼나무’라면 ‘다정’과 ‘큼’이 합쳐서 ‘다정하게 크는 나무’라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겠다. 많은 이들이 둥그스럼하고 윤기 나는 잎, 붙임성 있어 보이는 꽃, 많이 맺는 열매에서 전체적으로 정다운 느낌을 받는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집안으로 끌어들여 울타리 나무로 삼거나 담장 밑에 흔히 심었다. 나무 껍질은 비단실을 쪽빛으로 염색하는 데 써서 ‘쪽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사람이 살면서 다정하기는 아주 쉬운 것도 같고 무척 어려운 것도 같다. 어찌 보면 다정한 품성을 배우고 실천하는 것이 제대로 된 삶이어야 할 법한데, ‘인간에 대한 예의’마저 굳이 들먹이게 만드는 척박한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다른 사람에게 필요 이상 정을 주거나 베풀면 결국 바보 같고 손해 보는 느낌을 우리 사회가 너무 많이 겪게 해준 것은 아닌지 …. 그런 풍토가 무색해지도록 부디 ‘다정큼사람’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9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5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02
1742 구구히, 구구이 바람의종 2012.01.07 8767
1741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12.10.04 8767
1740 무료와 공짜 바람의종 2009.10.27 8766
1739 찌르레기 바람의종 2009.05.31 8764
1738 '첫'과 '처음' 바람의종 2008.09.18 8762
1737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08.06.08 8758
1736 마니산과 머리 바람의종 2008.01.28 8757
1735 트레킹, 트래킹 바람의종 2009.03.27 8757
1734 억수 風磬 2007.01.19 8756
1733 세 돈 금반지 바람의종 2009.07.18 8754
1732 장보고·논복 바람의종 2008.05.29 8751
1731 대폿잔과 소주잔 바람의종 2008.03.08 8751
1730 안갯속 바람의종 2010.06.19 8748
1729 청설모 바람의종 2009.08.07 8743
1728 넨장맞을 바람의종 2008.02.22 8742
1727 사탕·기름사탕 바람의종 2008.06.07 8741
1726 철쭉 바람의종 2008.08.13 8739
1725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07.03.29 8737
1724 초미 바람의종 2007.08.30 8737
1723 까치설날 바람의종 2010.09.05 8736
1722 부처손 바람의종 2008.02.10 8733
1721 됐거든 바람의종 2009.12.01 87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