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30 08:08

갑작힘

조회 수 8119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갑작힘

북녘말

“큰 고기가 물렸다고 덤비면서 갑작힘을 주면 물고기는 낚시끝에 찢긴 제코를 남겨놓고 도망친다우.”(장편소설 <참대는 불에 타도>)

갑작힘은 ‘갑자기 쓰는 힘’이다. ‘갑작’은 ‘갑작스럽다’에서 확인되는데, ‘갑작’에 대한 남북의 견해가 다르다. 남녘에서는 어근으로 보고, 북녘에서는 부사로 본다. 부사 ‘갑자기’의 준말로 보는 것이다. 여기서의 어근은 자립하지 못하는 어근을 말한다. 어근을 ‘자립 어근’과 ‘비자립 어근’으로 나눌 수 있고, 여기서는 ‘비자립 어근’을 가리킨다.

북녘말에서도 용언을 꾸미는 말로 ‘갑작’을 쓰는 일은 드문 것으로 보인다. 사전에 보기가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북녘말에서 ‘갑작’은 주로 명사나 명사형과 결합하여 낱말을 만드는 기능을 한다. 이를 고려하면, ‘갑작’은 ‘낱말을 만드는 어근’(단어 형성 어근)일 것으로 생각된다. ‘갑작’이 결합된 말로, 갑작달리기(급출발), 갑작바람(돌풍), 갑작변이(돌연변이), 갑작부자(벼락부자), 갑작비(갑자기 내리는 비), 갑작수(갑자기 꾸며 낸 수), 갑작죽음(돌연사), 갑작출세(벼락출세) 등이 있다. 이들 낱말은 대부분 ‘다듬은 말’로, 실제 북녘말에서 정착했는지는 알 수 없다. 익숙하지는 않지만, ‘갑작’과 ‘갑자기’가 같은 뜻이라는 사실만 알면 이들 낱말을 이해하는 데 별 문제가 없다.

최근 남쪽에 ‘급인사·급유행·급칭찬’처럼 접두사 ‘급-’을 붙여 말을 만드는 걸 본다. 접두사 ‘급-’은 1음절인 낱말과 결합하거나 고유어와 결합하면 어색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갑작’을 활용해 보는 것도 좋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0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5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482
334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557
333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249
332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598
331 효시 바람의종 2007.10.08 13488
330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226
329 환갑 바람의종 2007.10.06 18264
328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021
327 홍일점 바람의종 2007.10.05 10721
326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245
325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8973
324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544
323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319
322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2716
321 호구 바람의종 2007.09.26 11254
320 기다 아니다 바람의종 2007.09.23 14593
319 형극 바람의종 2007.09.23 12351
318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887
317 바람의종 2007.09.22 9005
316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177
315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294
314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011
313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0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