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30 08:08

갑작힘

조회 수 8168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갑작힘

북녘말

“큰 고기가 물렸다고 덤비면서 갑작힘을 주면 물고기는 낚시끝에 찢긴 제코를 남겨놓고 도망친다우.”(장편소설 <참대는 불에 타도>)

갑작힘은 ‘갑자기 쓰는 힘’이다. ‘갑작’은 ‘갑작스럽다’에서 확인되는데, ‘갑작’에 대한 남북의 견해가 다르다. 남녘에서는 어근으로 보고, 북녘에서는 부사로 본다. 부사 ‘갑자기’의 준말로 보는 것이다. 여기서의 어근은 자립하지 못하는 어근을 말한다. 어근을 ‘자립 어근’과 ‘비자립 어근’으로 나눌 수 있고, 여기서는 ‘비자립 어근’을 가리킨다.

북녘말에서도 용언을 꾸미는 말로 ‘갑작’을 쓰는 일은 드문 것으로 보인다. 사전에 보기가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북녘말에서 ‘갑작’은 주로 명사나 명사형과 결합하여 낱말을 만드는 기능을 한다. 이를 고려하면, ‘갑작’은 ‘낱말을 만드는 어근’(단어 형성 어근)일 것으로 생각된다. ‘갑작’이 결합된 말로, 갑작달리기(급출발), 갑작바람(돌풍), 갑작변이(돌연변이), 갑작부자(벼락부자), 갑작비(갑자기 내리는 비), 갑작수(갑자기 꾸며 낸 수), 갑작죽음(돌연사), 갑작출세(벼락출세) 등이 있다. 이들 낱말은 대부분 ‘다듬은 말’로, 실제 북녘말에서 정착했는지는 알 수 없다. 익숙하지는 않지만, ‘갑작’과 ‘갑자기’가 같은 뜻이라는 사실만 알면 이들 낱말을 이해하는 데 별 문제가 없다.

최근 남쪽에 ‘급인사·급유행·급칭찬’처럼 접두사 ‘급-’을 붙여 말을 만드는 걸 본다. 접두사 ‘급-’은 1음절인 낱말과 결합하거나 고유어와 결합하면 어색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갑작’을 활용해 보는 것도 좋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4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77
2556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712
2555 두사부일체 (일체/일절) 바람의종 2008.04.23 7756
2554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5909
2553 위례성과 아리수 바람의종 2008.04.24 8835
2552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855
2551 설둥하다 바람의종 2008.04.25 7050
2550 칠칠한 맞춤법 바람의종 2008.04.25 7606
2549 오마대·기림대·오고타이 바람의종 2008.04.26 7696
2548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726
2547 입장(立場)을 바꿔보자 바람의종 2008.04.26 7012
2546 공암진 바람의종 2008.04.27 7684
2545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217
2544 하늘말라리아? 바람의종 2008.04.27 8841
2543 예비 바람의종 2008.04.28 7628
2542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021
2541 육개장 바람의종 2008.04.28 5942
2540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232
2539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402
2538 올인 바람의종 2008.04.29 7416
2537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775
»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168
2535 아이들밖에 없다 (밖에) 바람의종 2008.04.30 62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