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30 08:05

궂긴소식

조회 수 8709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궂긴소식

언어예절

시대 따라 장례 풍속이 많이 바뀌었다. 그러나 늘 죽음은 하늘이 꺼지고, 한 세상이 저무는 일과 같다. 황망하여 궂긴소식 곧 죽음을 알리는 일조차 상주 아닌 호상 이름으로 내는 게 보통이다. 전날엔 부고장 꽂이를 사랑청에 두고 집안에 들이지 않았으나, 요즘은 부고장 대신 휴대전화나 전자우편으로 한시에 알리는 시절이 됐다.

부고는 알림 중에서도 육하원칙 따라 뼈대만 간추리는 대표적인 알림글이다. 인사말이나 격식이 따로 없다. 세상 버린 이 이름을 앞세워 ‘타계’ 사유와 일시를 보이면서 이를 삼가 알린다고 쓴다. 그 뒤 유족 이름과 관계·직함을 붙이고 빈소와 발인 날짜·시각, 연락처와 호상 이름을 밝히는 정도다. 신문 부고란에는 이보다 더 간략히 간추리기도 하고, 아무개의 부친·모친상 …으로 시작하기도 한다.

초상은 경황 없이 치르기 마련이어서 인사할 여유가 없으므로, 나중에 틈을 여투어 친지들에게 인사 편지를 보내는 게 도리다. 문상을 놓친 이도 있을 터이다.

부고는 부음·휘음·애계·흉문 …처럼 일컬음도 갖가지다. 사람 따라 죽음을 타계·별세·작고·서거·운명·하세 …로 달리 말하기도 하고, 종교 따라 선종·입적·열반·승천·소천 …들로 쓰기도 한다.

그 무엇보다 ‘돌아가시다, 세상 버리다, 가시다 …’들이 어울린다. 흔히 쓰는 ‘사망하다, 죽다’는 야박한 느낌을 주므로 사건·사고를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언론에서도 쓰기에 걸맞지 않다. 예컨대 “20명이 사망하고(죽고) 30명이 부상했다”보다는 “스무 명이 숨지고 서른 명이 다쳤다”가 자연스럽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9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852
2864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45
2863 존맛 風文 2023.06.28 1483
2862 족두리꽃 바람의종 2008.03.19 7336
2861 조카 바람의종 2007.03.26 11105
2860 조종, 조정 바람의종 2010.04.17 10954
2859 조족지혈 바람의종 2007.12.21 12527
2858 조조할인 바람의종 2010.08.17 16298
2857 조장 바람의종 2007.08.18 7100
2856 조이·조시 바람의종 2008.07.17 6477
2855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191
2854 조우, 해우, 만남 바람의종 2009.07.27 12762
2853 조언과 충고 바람의종 2012.05.22 9551
2852 조앙가 file 바람의종 2009.09.23 7746
2851 조사됐다 바람의종 2010.04.25 8374
2850 조사 ‘밖에’ 뒤엔 부정하는 말 바람의종 2009.11.24 9660
2849 조바심하다 바람의종 2007.03.24 6663
2848 조리다와 졸이다 바람의종 2010.10.04 10592
2847 조리다, 졸이다 바람의종 2012.11.06 15335
2846 조그만한, 자그만한 바람의종 2010.03.26 10874
2845 조개껍질 바람의종 2010.07.23 10452
2844 조개 바람의종 2013.02.05 19821
2843 조강지처 바람의종 2007.12.21 104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