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30 08:05

궂긴소식

조회 수 888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궂긴소식

언어예절

시대 따라 장례 풍속이 많이 바뀌었다. 그러나 늘 죽음은 하늘이 꺼지고, 한 세상이 저무는 일과 같다. 황망하여 궂긴소식 곧 죽음을 알리는 일조차 상주 아닌 호상 이름으로 내는 게 보통이다. 전날엔 부고장 꽂이를 사랑청에 두고 집안에 들이지 않았으나, 요즘은 부고장 대신 휴대전화나 전자우편으로 한시에 알리는 시절이 됐다.

부고는 알림 중에서도 육하원칙 따라 뼈대만 간추리는 대표적인 알림글이다. 인사말이나 격식이 따로 없다. 세상 버린 이 이름을 앞세워 ‘타계’ 사유와 일시를 보이면서 이를 삼가 알린다고 쓴다. 그 뒤 유족 이름과 관계·직함을 붙이고 빈소와 발인 날짜·시각, 연락처와 호상 이름을 밝히는 정도다. 신문 부고란에는 이보다 더 간략히 간추리기도 하고, 아무개의 부친·모친상 …으로 시작하기도 한다.

초상은 경황 없이 치르기 마련이어서 인사할 여유가 없으므로, 나중에 틈을 여투어 친지들에게 인사 편지를 보내는 게 도리다. 문상을 놓친 이도 있을 터이다.

부고는 부음·휘음·애계·흉문 …처럼 일컬음도 갖가지다. 사람 따라 죽음을 타계·별세·작고·서거·운명·하세 …로 달리 말하기도 하고, 종교 따라 선종·입적·열반·승천·소천 …들로 쓰기도 한다.

그 무엇보다 ‘돌아가시다, 세상 버리다, 가시다 …’들이 어울린다. 흔히 쓰는 ‘사망하다, 죽다’는 야박한 느낌을 주므로 사건·사고를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언론에서도 쓰기에 걸맞지 않다. 예컨대 “20명이 사망하고(죽고) 30명이 부상했다”보다는 “스무 명이 숨지고 서른 명이 다쳤다”가 자연스럽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6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2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176
334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711
333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708
332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708
331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705
330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702
329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701
328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701
327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697
326 납작하다, 국가 사전을 다시? 주인장 2022.10.20 1697
325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697
324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694
323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691
322 국어 영역 / 애정 행각 風文 2020.06.15 1689
321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681
320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679
319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676
318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675
317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669
316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668
315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667
314 혼성어 風文 2022.05.18 1667
313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6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