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30 08:05

궂긴소식

조회 수 8722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궂긴소식

언어예절

시대 따라 장례 풍속이 많이 바뀌었다. 그러나 늘 죽음은 하늘이 꺼지고, 한 세상이 저무는 일과 같다. 황망하여 궂긴소식 곧 죽음을 알리는 일조차 상주 아닌 호상 이름으로 내는 게 보통이다. 전날엔 부고장 꽂이를 사랑청에 두고 집안에 들이지 않았으나, 요즘은 부고장 대신 휴대전화나 전자우편으로 한시에 알리는 시절이 됐다.

부고는 알림 중에서도 육하원칙 따라 뼈대만 간추리는 대표적인 알림글이다. 인사말이나 격식이 따로 없다. 세상 버린 이 이름을 앞세워 ‘타계’ 사유와 일시를 보이면서 이를 삼가 알린다고 쓴다. 그 뒤 유족 이름과 관계·직함을 붙이고 빈소와 발인 날짜·시각, 연락처와 호상 이름을 밝히는 정도다. 신문 부고란에는 이보다 더 간략히 간추리기도 하고, 아무개의 부친·모친상 …으로 시작하기도 한다.

초상은 경황 없이 치르기 마련이어서 인사할 여유가 없으므로, 나중에 틈을 여투어 친지들에게 인사 편지를 보내는 게 도리다. 문상을 놓친 이도 있을 터이다.

부고는 부음·휘음·애계·흉문 …처럼 일컬음도 갖가지다. 사람 따라 죽음을 타계·별세·작고·서거·운명·하세 …로 달리 말하기도 하고, 종교 따라 선종·입적·열반·승천·소천 …들로 쓰기도 한다.

그 무엇보다 ‘돌아가시다, 세상 버리다, 가시다 …’들이 어울린다. 흔히 쓰는 ‘사망하다, 죽다’는 야박한 느낌을 주므로 사건·사고를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언론에서도 쓰기에 걸맞지 않다. 예컨대 “20명이 사망하고(죽고) 30명이 부상했다”보다는 “스무 명이 숨지고 서른 명이 다쳤다”가 자연스럽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8999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5494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0444
    read more
  4. 굿

    Date2008.02.17 By바람의종 Views7953
    Read More
  5. 궁거운 생각!

    Date2010.05.28 By바람의종 Views9116
    Read More
  6. 궁시렁궁시렁

    Date2007.12.17 By바람의종 Views6958
    Read More
  7. 궁작이

    Date2009.05.30 By바람의종 Views6248
    Read More
  8. 궂기다

    Date2010.03.16 By바람의종 Views12205
    Read More
  9. 궂긴소식

    Date2008.04.30 By바람의종 Views8722
    Read More
  10. 궂긴인사

    Date2008.07.19 By바람의종 Views7398
    Read More
  11. 궂은날, 궂은 날

    Date2010.05.28 By바람의종 Views11361
    Read More
  12. 권력의 용어

    Date2022.02.10 By風文 Views1063
    Read More
  13. 귀 잡수시다?

    Date2023.11.11 By風文 Views1257
    Read More
  14. 귀감

    Date2007.06.06 By바람의종 Views8602
    Read More
  15.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Date2012.08.14 By바람의종 Views32869
    Read More
  16. 귀성

    Date2009.06.11 By바람의종 Views10601
    Read More
  17. 귀순과 의거

    Date2022.05.20 By관리자 Views951
    Read More
  18. 귀절 / 구절

    Date2009.02.17 By바람의종 Views11003
    Read More
  19. 귀지하다

    Date2008.02.15 By바람의종 Views9797
    Read More
  20. 귀추가 주목된다

    Date2007.12.28 By바람의종 Views17959
    Read More
  21. 귀향객, 귀성객

    Date2012.09.26 By바람의종 Views8590
    Read More
  22. 귓밥을 귀후비개로 파다

    Date2009.04.03 By바람의종 Views10701
    Read More
  23. 그것을 아시요?

    Date2010.03.18 By바람의종 Views9192
    Read More
  24. 그것참

    Date2010.08.27 By바람의종 Views8970
    Read More
  25. 그녀

    Date2009.07.10 By바람의종 Views733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