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30 08:05

궂긴소식

조회 수 8875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궂긴소식

언어예절

시대 따라 장례 풍속이 많이 바뀌었다. 그러나 늘 죽음은 하늘이 꺼지고, 한 세상이 저무는 일과 같다. 황망하여 궂긴소식 곧 죽음을 알리는 일조차 상주 아닌 호상 이름으로 내는 게 보통이다. 전날엔 부고장 꽂이를 사랑청에 두고 집안에 들이지 않았으나, 요즘은 부고장 대신 휴대전화나 전자우편으로 한시에 알리는 시절이 됐다.

부고는 알림 중에서도 육하원칙 따라 뼈대만 간추리는 대표적인 알림글이다. 인사말이나 격식이 따로 없다. 세상 버린 이 이름을 앞세워 ‘타계’ 사유와 일시를 보이면서 이를 삼가 알린다고 쓴다. 그 뒤 유족 이름과 관계·직함을 붙이고 빈소와 발인 날짜·시각, 연락처와 호상 이름을 밝히는 정도다. 신문 부고란에는 이보다 더 간략히 간추리기도 하고, 아무개의 부친·모친상 …으로 시작하기도 한다.

초상은 경황 없이 치르기 마련이어서 인사할 여유가 없으므로, 나중에 틈을 여투어 친지들에게 인사 편지를 보내는 게 도리다. 문상을 놓친 이도 있을 터이다.

부고는 부음·휘음·애계·흉문 …처럼 일컬음도 갖가지다. 사람 따라 죽음을 타계·별세·작고·서거·운명·하세 …로 달리 말하기도 하고, 종교 따라 선종·입적·열반·승천·소천 …들로 쓰기도 한다.

그 무엇보다 ‘돌아가시다, 세상 버리다, 가시다 …’들이 어울린다. 흔히 쓰는 ‘사망하다, 죽다’는 야박한 느낌을 주므로 사건·사고를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언론에서도 쓰기에 걸맞지 않다. 예컨대 “20명이 사망하고(죽고) 30명이 부상했다”보다는 “스무 명이 숨지고 서른 명이 다쳤다”가 자연스럽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22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720
2864 굿 바람의종 2008.02.17 8093
2863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49
2862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7121
2861 궁작이 바람의종 2009.05.30 6260
2860 궂기다 바람의종 2010.03.16 12215
»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875
2858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442
2857 궂은날, 궂은 날 바람의종 2010.05.28 11380
2856 권력의 용어 風文 2022.02.10 1297
2855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469
2854 귀감 바람의종 2007.06.06 8661
2853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바람의종 2012.08.14 33024
2852 귀성 바람의종 2009.06.11 10614
2851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1139
2850 귀절 / 구절 바람의종 2009.02.17 11014
2849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9962
2848 귀추가 주목된다 바람의종 2007.12.28 18050
2847 귀향객, 귀성객 바람의종 2012.09.26 8637
2846 귓밥을 귀후비개로 파다 바람의종 2009.04.03 10734
2845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206
2844 그것참 바람의종 2010.08.27 8996
2843 그녀 바람의종 2009.07.10 73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