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9 11:58

패수와 열수

조회 수 10726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패수와 열수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를 보면, 광개토왕 4년 8월에 왕이 패수(浿水)에서 백제와 크게 싸워 이겼다는 기록이 나온다. ‘패수’가 어디인지는 정확히 알기 어려우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신라 선덕왕 때에 한산주에 ‘패강진’(浿江鎭)을 설치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황해도 평산에 ‘패강진’이 있었다고도 한다. 또한 패수를 열수(列水)라 부르기도 하였는데, ‘열’(列)은 ‘벌림’을 뜻하는 말이므로 거센소리가 되기 이전의 ‘패수’와 같은 말이다.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패수’의 ‘배’를 ‘밝음’을 뜻하는 ‘ㅂ·ㄺ’으로 풀이한 바 있다. 이 풀이를 그대로 믿을 수는 없으나 ‘패수’의 ‘패’나 ‘열수’의 ‘벌’은 모두 땅이름에 쓰이는 ‘벌’과 깊은 관련이 있다. 다만 ‘벌’은 넓은 들을 뜻하며, 강을 낀 넓은 벌판은 사람이 모여 살기에 적합한 땅이 된다.

광개토의 아들인 장수왕은 사천(蛇川) 들에 나아가 사냥하면서 흰노루를 잡았고, 이후 평양으로 천도한 임금이다. 장수왕이 사냥했다는 ‘사천’ 또한 ‘뱀ㄴ·ㅣ’다. ‘사천’과 ‘사수’(蛇水)는 같은 뜻이니 이 또한 ‘벌’이다. 사학자 이병도는 ‘패수’를 청천강이라고 했는데, 한백겸의 <동국지리지>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땅이름 ‘패강·패수·사천’ 등이 ‘벌’과 관련이 있음을 고려한다면, 패수는 ‘벌’을 낀 강을 두루 나타내는 보통명사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패수’에서 확인되는 ‘벌’의 땅이름 분포는 고조선의 영토 고증뿐만 아니라 우리 겨레의 뿌리를 찾는 데 귀중한 자료로 쓸 만한 보기라 하겠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66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2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951
2314 호치키스 바람의종 2010.03.06 10256
2313 풍비박산 바람의종 2007.12.23 10252
2312 말빨, 화장빨, 글빨 바람의종 2010.03.07 10243
2311 장사진을 치다 바람의종 2008.01.29 10238
2310 추켜세우다, 치켜세우다 바람의종 2009.06.29 10232
2309 내숭스럽다 風磬 2006.10.30 10231
2308 설겆이, 설거지 / 애닯다, 애달프다 바람의종 2009.07.26 10231
2307 넋두리 바람의종 2010.05.12 10230
2306 늘리다와 늘이다 바람의종 2010.04.19 10223
2305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10220
2304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10220
2303 금일봉 바람의종 2007.06.06 10219
2302 넥타이는 매고,배낭은 멘다 바람의종 2010.03.02 10218
2301 할미새 바람의종 2009.12.04 10217
2300 방불하다 바람의종 2009.07.31 10212
2299 소강상태에 빠지다 바람의종 2010.05.29 10212
2298 딴전 바람의종 2010.10.16 10211
2297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10209
2296 결초보은 바람의종 2007.10.27 10207
2295 단절, 두절 바람의종 2011.12.13 10204
2294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201
2293 기린 바람의종 2009.12.18 101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