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8 07:20

터물·더믈

조회 수 793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터물·더믈

사람이름

세종 3년(1423년), 김가물·김사안·김내거(金加勿·金沙安·金乃巨) 등 남녀 다섯이 요동에서 도망쳐 왔다. 본디 강계 사람으로, 요동으로 달아나 동녕위(東寧衛) 군대에 들어갔다가 고향이 그리워 도망 온 사람들이었다. 임금은 이들이 비록 우리 사람이나 중국 군대에 이름을 올렸으므로, 구실아치와 함께 그들을 요동으로 보냈다. 이름 표기에서 加勿(가물)은 ‘더믈’을, 高時加勿(고시가물)은 ‘고시더믈’을 적는다.

<용비어천가>에 夾溫猛哥帖木兒(협온맹가첩목아)·賽因帖木兒(새인첩목아)·兀魯帖木兒(올로첩목아)·高時帖木兒(고시첩목아) 따위 사람이름이 ‘갸온멍거터물·사인터물·우로터믈·고시더믈’로 적혀 있다. 帖木兒(첩목아)를 적는 ‘터물·터믈·더믈’ 가운데 앞서 본 바와 같이 ‘더믈’은 우리나라 말로 바뀐 것이고 ‘터물’은 몽골말 소릿값, ‘터믈’은 그 중간 꼴이다.

‘터물’은 몽골 사람 이름에 자주 쓰이는 밑말로, 쇠를 뜻한다. 그 자취는 야인과 우리나라 사람이름에 남아 있다. ‘부허’(不花)는 ‘부개·보개’로, ‘오부카/오부허’는 ‘어부개’로, ‘노하이’는 ‘노개’, ‘코이시터물’은 ‘고시더믈’로도 자리잡았다. 그 밖에 ‘바얀, 바두/바두리/바토/바토이, 사안/사얀, 돌치, 보라/보로, 야수개’ 따위 이름이 쓰였다. ‘돌치’는 티베트말로 도르찌(다이아몬드), 보로는 볼로르(수정)다. 몽골 사람 이름에는 지금도 티베트말이 자주 쓰인다. 이렇듯 사람이름에는 이웃과의 역사 관계에서 함께 쓰는 이름들이 있다. 조선 후기로 오면서 이런 영향은 자취를 감춘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9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4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452
1302 억지조어 바람의종 2011.11.11 7774
1301 실내체육관의 주소지 바람의종 2009.11.19 7771
1300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70
1299 혈혈단신,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8.07.02 7769
1298 믿음 바람의종 2009.09.18 7768
1297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768
1296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61
1295 꿰매다, 시치다 바람의종 2008.11.25 7761
1294 돌림말 바람의종 2009.09.26 7759
1293 두루뭉수리 風磬 2006.11.16 7757
1292 만큼 바람의종 2010.05.11 7756
1291 빈대떡 風磬 2006.12.23 7756
1290 즐겁다, 기쁘다 바람의종 2008.10.13 7756
1289 조앙가 file 바람의종 2009.09.23 7753
1288 두사부일체 (일체/일절) 바람의종 2008.04.23 7751
1287 멘토링 바람의종 2010.03.04 7750
1286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46
1285 '매우''아주''몹시' 바람의종 2008.05.01 7745
1284 방울새 바람의종 2009.09.07 7742
1283 영감 바람의종 2007.08.07 7741
1282 아나고 바람의종 2008.02.16 7741
1281 안 해, 안돼 바람의종 2009.08.06 77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