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8 07:20

터물·더믈

조회 수 815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터물·더믈

사람이름

세종 3년(1423년), 김가물·김사안·김내거(金加勿·金沙安·金乃巨) 등 남녀 다섯이 요동에서 도망쳐 왔다. 본디 강계 사람으로, 요동으로 달아나 동녕위(東寧衛) 군대에 들어갔다가 고향이 그리워 도망 온 사람들이었다. 임금은 이들이 비록 우리 사람이나 중국 군대에 이름을 올렸으므로, 구실아치와 함께 그들을 요동으로 보냈다. 이름 표기에서 加勿(가물)은 ‘더믈’을, 高時加勿(고시가물)은 ‘고시더믈’을 적는다.

<용비어천가>에 夾溫猛哥帖木兒(협온맹가첩목아)·賽因帖木兒(새인첩목아)·兀魯帖木兒(올로첩목아)·高時帖木兒(고시첩목아) 따위 사람이름이 ‘갸온멍거터물·사인터물·우로터믈·고시더믈’로 적혀 있다. 帖木兒(첩목아)를 적는 ‘터물·터믈·더믈’ 가운데 앞서 본 바와 같이 ‘더믈’은 우리나라 말로 바뀐 것이고 ‘터물’은 몽골말 소릿값, ‘터믈’은 그 중간 꼴이다.

‘터물’은 몽골 사람 이름에 자주 쓰이는 밑말로, 쇠를 뜻한다. 그 자취는 야인과 우리나라 사람이름에 남아 있다. ‘부허’(不花)는 ‘부개·보개’로, ‘오부카/오부허’는 ‘어부개’로, ‘노하이’는 ‘노개’, ‘코이시터물’은 ‘고시더믈’로도 자리잡았다. 그 밖에 ‘바얀, 바두/바두리/바토/바토이, 사안/사얀, 돌치, 보라/보로, 야수개’ 따위 이름이 쓰였다. ‘돌치’는 티베트말로 도르찌(다이아몬드), 보로는 볼로르(수정)다. 몽골 사람 이름에는 지금도 티베트말이 자주 쓰인다. 이렇듯 사람이름에는 이웃과의 역사 관계에서 함께 쓰는 이름들이 있다. 조선 후기로 오면서 이런 영향은 자취를 감춘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4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0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920
1280 즐겁다, 기쁘다 바람의종 2008.10.13 7776
1279 실레마을과 시루 바람의종 2008.05.03 7774
1278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773
1277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73
1276 나무노래 바람의종 2008.01.17 7771
1275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70
1274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768
1273 두사부일체 (일체/일절) 바람의종 2008.04.23 7768
1272 (공장)부지 바람의종 2007.10.13 7767
1271 재야 바람의종 2007.08.15 7766
1270 오마대·기림대·오고타이 바람의종 2008.04.26 7764
1269 돌림말 바람의종 2009.09.26 7762
1268 빨치산 바람의종 2008.02.14 7762
1267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757
1266 멘토링 바람의종 2010.03.04 7757
1265 방울새 바람의종 2009.09.07 7755
1264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54
1263 아나고 바람의종 2008.02.16 7753
1262 섭씨 바람의종 2007.07.23 7750
1261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49
1260 상무성 바람의종 2010.09.29 7748
1259 공암진 바람의종 2008.04.27 77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