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7 05:11

공암진

조회 수 7634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공암진

땅이름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고려 공민왕 때 공암진에서 평민 두 형제가 함께 길을 가다가 아우가 황금 두 덩이를 주워서 형에게 하나를 주었는데, 동생이 갑자기 남은 금을 물에 던지므로 형이 괴이하게 여겨 그 까닭을 물으니, “제가 평소 형을 우애하였는데, 금을 나누어 가진 뒤 형님을 꺼리는 마음이 생겼습니다. 이것은 상서롭지 못한 물건이니 강에 던지는 것이 낫겠습니다”라고 대답하므로, 형도 아우에게 받은 금을 물에 던졌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 이야기가 남아 있는 공암진은 지금의 서울 강서구로 옛날 이름은 제차파의현(齊次巴衣縣)이다. 이 이름에서 ‘파의’는 ‘바위’를 뜻하는 말인데, 한자를 빌려 쓸 때는 ‘파의’ 또는 ‘파혜’(波兮)로 표기하였다. <삼국사기> 지리지의 ‘별사파의’, ‘구사파의’, ‘밀파의’ 등의 땅이름이 이에 해당한다. 이런 이름들은 대체로 ‘고개’를 뜻하는 ‘현’(峴)이나 ‘바위’를 뜻하는 ‘암’(巖)으로 바뀌었다.

‘바위’의 옛말은 ‘바회’다. <감산사미륵보살광배명>에는 ‘동해유반변’(東海攸反邊)이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 때의 ‘유반’도 ‘바회’다. 유(攸)는 ‘바 유’로 ‘소’(所)와 같은 뜻이며, 외(外)는 한자의 음을 표기한 것이다. ‘마음’을 ‘심음’(心音), ‘가을’을 ‘추찰’(秋察)로 표기하듯이, 한자를 빌려 우리말 단어를 표기할 때 뜻을 중심으로 하고 음을 덧붙이는 원리를 따른 것이다.

사람의 심성이 땅을 닮아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인데, 강산이 변하여 공암진의 바위와 형제투금 전설을 다시 찾는 일이 쉽지는 않아 보인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1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79
334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455
333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0938
332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490
331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005
330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5836
329 갑질 風文 2024.03.27 1416
328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296
327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672
326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102
325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307
324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371
323 감질나다 바람의종 2010.08.03 12691
322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577
321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042
320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534
319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756
318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070
317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341
316 갈매기살, 제비추리, 토시살 바람의종 2008.11.16 8631
315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606
314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154
313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79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