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6 03:59

솔체꽃

조회 수 767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솔체꽃
 



 


물건 모양을 본 따 붙인 풀꽃 이름으로 ‘처녀치마/ 골무꽃/ 족두리풀/ 촛대승마 …’ 등 보기가 많다.

‘솔체꽃’도 가을산을 오르며 사람들이 흥미롭게 살펴보는 풀꽃이다. 꽃이 피기 전 봉오리 모습이 가루를 곱게 치거나 국수를 삶아 건질 때 쓰는 체의 촘촘한 그물을 닮았다. 이때는 전체 꽃 모습도 오므리기보다는 평평한 편이다. ‘솔’은 아마도 꽃이 피면서 드러나는 뾰족뾰족한 꽃술 모양이 솔잎처럼 생긴 데서 온 게 아닐까 싶다. 그러니까 ‘솔잎이 달린 체’ 모양 풀꽃이다.

‘솔체꽃’이 기본종으로, 잎에 털이 없는 ‘민둥체꽃’, 잎이 깃털처럼 잘게 갈라진 ‘체꽃’, 꽃받침 가시침이 조금 긴 ‘구름체꽃’ 등이 있다. 한자말로는 ‘산라복’(山蘿蔔)인데, 한방에서 열을 다스리는 데 썼다고 한다.

9~10월 맑은 하늘 아래 피어 있는 보랏빛꽃이 신비한데, 꽃말이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라니 자못 사연이 궁금하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쓰러진 산골 소년을 요정이 약초로 구해 주었는데, 소년이 그 사랑을 알지 못한 채 다른 이와 결혼하자 슬픔에 겨운 요정이 숨져 피어난 꽃이라고 한다. 지독히 아름다운 것은 슬픈 것일까.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1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540
334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541
333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233
332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590
331 효시 바람의종 2007.10.08 13488
330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205
329 환갑 바람의종 2007.10.06 18237
328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014
327 홍일점 바람의종 2007.10.05 10707
326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213
325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8956
324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519
323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295
322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2697
321 호구 바람의종 2007.09.26 11248
320 기다 아니다 바람의종 2007.09.23 14588
319 형극 바람의종 2007.09.23 12333
318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883
317 바람의종 2007.09.22 8990
316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163
315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279
314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0993
313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0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