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6 03:59

솔체꽃

조회 수 7889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솔체꽃
 



 


물건 모양을 본 따 붙인 풀꽃 이름으로 ‘처녀치마/ 골무꽃/ 족두리풀/ 촛대승마 …’ 등 보기가 많다.

‘솔체꽃’도 가을산을 오르며 사람들이 흥미롭게 살펴보는 풀꽃이다. 꽃이 피기 전 봉오리 모습이 가루를 곱게 치거나 국수를 삶아 건질 때 쓰는 체의 촘촘한 그물을 닮았다. 이때는 전체 꽃 모습도 오므리기보다는 평평한 편이다. ‘솔’은 아마도 꽃이 피면서 드러나는 뾰족뾰족한 꽃술 모양이 솔잎처럼 생긴 데서 온 게 아닐까 싶다. 그러니까 ‘솔잎이 달린 체’ 모양 풀꽃이다.

‘솔체꽃’이 기본종으로, 잎에 털이 없는 ‘민둥체꽃’, 잎이 깃털처럼 잘게 갈라진 ‘체꽃’, 꽃받침 가시침이 조금 긴 ‘구름체꽃’ 등이 있다. 한자말로는 ‘산라복’(山蘿蔔)인데, 한방에서 열을 다스리는 데 썼다고 한다.

9~10월 맑은 하늘 아래 피어 있는 보랏빛꽃이 신비한데, 꽃말이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라니 자못 사연이 궁금하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쓰러진 산골 소년을 요정이 약초로 구해 주었는데, 소년이 그 사랑을 알지 못한 채 다른 이와 결혼하자 슬픔에 겨운 요정이 숨져 피어난 꽃이라고 한다. 지독히 아름다운 것은 슬픈 것일까.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3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0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702
1214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705
1213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705
1212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705
1211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703
1210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703
1209 단고기 바람의종 2008.03.20 7701
1208 올림과 드림 바람의종 2008.02.01 7700
1207 오소리 바람의종 2009.07.18 7700
1206 잊혀진(?) 계절 바람의종 2008.05.27 7699
1205 띄어쓰기 - "만" 바람의종 2008.10.23 7694
1204 사족 / 사죽 바람의종 2009.03.01 7693
1203 너랑 나랑 바람의종 2008.11.15 7689
1202 더하고 빼기 바람의종 2009.07.24 7688
1201 날더러, 너더러, 저더러 바람의종 2009.06.01 7686
1200 불티나다 風磬 2006.12.23 7685
1199 러닝셔츠 바람의종 2010.01.09 7684
1198 북녘의 수학 용어 바람의종 2010.02.22 7679
1197 무단시 왜 그리 쌓소! 바람의종 2010.01.28 7676
1196 코끼리 바람의종 2008.09.07 7675
1195 애시당초 바람의종 2010.03.03 7675
1194 맞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01.13 7673
1193 한자성어(1) 바람의종 2008.06.19 76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