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6 03:59

솔체꽃

조회 수 7652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솔체꽃
 



 


물건 모양을 본 따 붙인 풀꽃 이름으로 ‘처녀치마/ 골무꽃/ 족두리풀/ 촛대승마 …’ 등 보기가 많다.

‘솔체꽃’도 가을산을 오르며 사람들이 흥미롭게 살펴보는 풀꽃이다. 꽃이 피기 전 봉오리 모습이 가루를 곱게 치거나 국수를 삶아 건질 때 쓰는 체의 촘촘한 그물을 닮았다. 이때는 전체 꽃 모습도 오므리기보다는 평평한 편이다. ‘솔’은 아마도 꽃이 피면서 드러나는 뾰족뾰족한 꽃술 모양이 솔잎처럼 생긴 데서 온 게 아닐까 싶다. 그러니까 ‘솔잎이 달린 체’ 모양 풀꽃이다.

‘솔체꽃’이 기본종으로, 잎에 털이 없는 ‘민둥체꽃’, 잎이 깃털처럼 잘게 갈라진 ‘체꽃’, 꽃받침 가시침이 조금 긴 ‘구름체꽃’ 등이 있다. 한자말로는 ‘산라복’(山蘿蔔)인데, 한방에서 열을 다스리는 데 썼다고 한다.

9~10월 맑은 하늘 아래 피어 있는 보랏빛꽃이 신비한데, 꽃말이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라니 자못 사연이 궁금하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쓰러진 산골 소년을 요정이 약초로 구해 주었는데, 소년이 그 사랑을 알지 못한 채 다른 이와 결혼하자 슬픔에 겨운 요정이 숨져 피어난 꽃이라고 한다. 지독히 아름다운 것은 슬픈 것일까.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38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9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966
1984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049
1983 짝태 바람의종 2008.06.13 8050
1982 번갈아 바람의종 2007.05.10 8051
1981 면목 바람의종 2007.07.01 8051
1980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052
1979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061
1978 널다리와 너더리 바람의종 2008.07.02 8064
1977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074
1976 ~에게, ~와 바람의종 2010.05.28 8079
1975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080
1974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084
1973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086
1972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086
1971 뚱딴지 바람의종 2008.02.02 8092
1970 발음상의 특징 바람의종 2010.01.15 8098
1969 빈대떡 바람의종 2010.09.01 8102
1968 아무럼 / 아무렴 바람의종 2010.05.10 8104
1967 진검승부 바람의종 2010.05.11 8104
1966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05
1965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06
1964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08
1963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1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