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4 06:21

위례성과 아리수

조회 수 897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위례성과 아리수

백제시대 서울은 ‘위례성’이라 불렸다. <삼국사기> 백제 본기에서는 온조 임금이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했다는 기록이 나오며, ‘위례’는 때로 ‘욱리’(郁里), ‘아리’(阿利)로 불렸다. 이로부터 한강이 ‘욱리’ 또는 ‘아리’로 불리기도 하였다.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아리’, ‘욱리’를 ‘하늘’의 고어인 ‘한 ㅂ·ㄹ’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우리말에서 ‘ㅂ’은 입술가벼운소리[ㅸ]를 거쳐 탈락하는 경우가 많으니 ‘한ㅂ·ㄹ’이 ‘한ㅇ·ㄹ’ 곧 ‘하늘’로 변화하는 과정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하늘’의 ‘한’은 ‘큰 것’을 뜻하는 말로 한강의 ‘한’도 그 뜻이 같다.

‘아리’가 ‘ㅂ·ㄹ’에서 비롯된 말이었을 가능성은 고구려의 수도인 국내성의 다른 이름에서도 확인된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국내성의 다른 이름으로 ‘위나암성’ 또는 ‘불이성’이 있었음을 기록하고 있는데, ‘불이’는 ‘ㅂ·ㄹ’을 소리대로 표기한 것이며, ‘위나암’은 ‘위례’와 같은 꼴의 말이다. ‘ㅂ·ㄹ’은 ‘ㅇ·ㄹ’ 을 거쳐 ‘아리’, ‘위례’, ‘어리’, ‘오리’ 등의 다양한 땅이름으로 남는다. 호태왕비의 ‘어리성, 오리성, 야리성’이나 황해 봉산의 ‘오리포’, 그리고 ‘압록강’ 등도 이 말과 관련이 있다. ‘어리성’이나 ‘오리포’, ‘압록강’ 등이 ‘아리’에 한자말 ‘성’, ‘포’, ‘강’ 등이 붙은 말임을 고려한다면, ‘아리수’는 ‘아리’에 물을 뜻하는 ‘수’가 붙은 말임을 짐작할 수 있다.

‘아리수’가 서울의 수돗물 이름으로 되살아 난 것도 재미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0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5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511
334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766
333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596
332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901
331 효시 바람의종 2007.10.08 13655
330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552
329 환갑 바람의종 2007.10.06 18541
328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158
327 홍일점 바람의종 2007.10.05 11020
326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718
325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9188
324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918
323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524
322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3054
321 호구 바람의종 2007.09.26 11505
320 기다 아니다 바람의종 2007.09.23 14792
319 형극 바람의종 2007.09.23 12532
318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7096
317 바람의종 2007.09.22 9226
316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383
315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529
314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226
313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3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