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4 06:17

나비나물

조회 수 605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나비나물
 



 


풀꽃 이름을 지을 때 그 모양이나 습성이 닮았을 때 흔히 동물 이름을 가져다 붙이는데, 보통 동물 이름이 붙을 경우 ‘닭/범/꿩/노루’ 등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거나 친근하게 여겨지는 것들이 붙는다. 곤충 이름 중에서는 ‘파리/모기’ 등을 붙이지만 모양을 본딴 것은 아닌데, 나비는 하늘거리는 모양이 예뻐서 ‘풍접초’(風蝶草)처럼 한자말 이름에도 자주 붙는다.

‘나비나물’은 봄·여름에 산과 들에 나는 어린잎을 나물로 해 먹는다. 여름·가을에 붉은자주색 꽃이 피는데, 봉오리가 벌어졌을 때 두 장씩 마주 나는 꽃잎이 나비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꽃에 꿀이 많아서 나비나물이라는 이름이 무색지 않다. 한약이름으로도 ‘왜두채’(歪頭菜)라 하여 현기증 등을 치료하고, 피로를 없애는 등 몸이 허한 사람의 기력을 회복하게 하는 효능을 지닌 귀한 산나물이다.

잎이 큰 ‘큰나비나물’, 크기가 작은 ‘애기나비나물’, 잎이 좁고 긴 ‘긴잎나비나물’, 광양만으로 흘러드는 백운산 골짜기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 푸른자주색 ‘광양나비나물’ 등의 종류가 있다. 나비나물은 동물 이름으로 식물을 일컬은 예쁘고도 달콤한 이름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7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3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26
334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760
333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592
332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897
331 효시 바람의종 2007.10.08 13655
330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552
329 환갑 바람의종 2007.10.06 18534
328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158
327 홍일점 바람의종 2007.10.05 11008
326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711
325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9188
324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909
323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517
322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3054
321 호구 바람의종 2007.09.26 11505
320 기다 아니다 바람의종 2007.09.23 14785
319 형극 바람의종 2007.09.23 12530
318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7091
317 바람의종 2007.09.22 9207
316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380
315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525
314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223
313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2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