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3 20:29

가히·논개②

조회 수 965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히·논개②

연산주 때 왕의 남자에 견줄 광해주 때 왕의 여자, 介屎(개시)가 있었다. 기록을 보면 선조를 독살한 여인으로, 또 광해주의 사랑을 받고 나랏일도 주무른 이로 나타나는데, 시대상으로 보아 두 사람일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광해주가 아비를 독살하고 왕이 됐다는 주장은 인조반정에서 내세운 큰 명분이었다고 한다.

한자 屎는 ‘똥 시’로 읽히니 介屎(개시)를 개똥이라고 부르는 때도 많다. 그러나 이때 사정을 적은 <계축일기>에는 개시도 개똥이도 아닌 ‘가히’로 적혀 있다. <동국신속삼강행실>에서는 ‘가히’를 加屎(가시)로도 적는다. <훈몽자회>에서도 히읗을 屎로 적는 것을 보면 屎(시)는 ‘히’를 적는 것으로 이미 굳었던 것 같다. 사람이름에 ‘돌히·나히·막돌히·쇼히·일히·차돌히’ 따위가 있는데, 이름을 적을 때는 한결같이 屎를 끌어다 ‘乭屎/突屎·乃屎·莫乭屎·牛屎·一屎·次乭屎’ 따위로 적었다. 사람이름 ‘그티/귿티’는 末叱致(말질치)/唜致로 적는데, 末叱屎/唜屎(귿히)로 적은 기록도 보인다.

‘가히’는 사람이라는 뜻과 집에서 키우는 개라는 뜻이 함께 있었다. 중세 말 아므가히(某人)는 요즘의 아무개, 방언의 아무거시에 해당한다. 중세 말에서 사람이라는 뜻의 ‘가히’를 보면 비슷한 이름접미사인 ‘-가/가이/개’도 같은 뜻을 지닌 것으로 생각된다. 남자와 여자의 이름인 논개는 ‘논 사람’(沓人)이란 뜻을 지녔다. ‘-가히’가 더해진 사내이름에 ‘강가히·날가히·언가히·은가히·큰가히’ 따위가 있고, 계집이름에는 ‘가진가히·막가히·맵가히·봄가히·분가히·슌가히·운가히·진가히’ 따위가 있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8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80
334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448
333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446
332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444
331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443
330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442
329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430
328 갑질 風文 2024.03.27 1430
327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429
326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427
325 너무 風文 2023.04.24 1426
324 단골 風文 2023.05.22 1424
323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423
322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422
321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420
320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416
319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412
318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05
317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403
316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400
315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399
314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397
313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3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