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3 20:27

낙지와 오징어

조회 수 9019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낙지와 오징어

평양이나 금강산에 가서 ‘오징어포’를 주문하면 ‘말린 낙지’가 나온다. 남녘의 오징어를 북녘에서는 ‘낙지’라 하고, 남녘의 낙지를 북녘에서는 ‘오징어’라 하기 때문이다. 금강산에서는 낙지가 아닌 ‘오징어포’가 나올 수도 있는데, 아마도 남북 말차이를 알고 있는 접대원이 ‘마른낙지’로 주문을 바꿔 생각했을 것이다. 남북의 이런 차이는 사전 풀이에 드러난다. ‘낙지’ 풀이를 비교해 보자.

“문어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70㎝ 정도이고 길둥글며 회색인데 주위의 빛에 따라 색이 바뀐다. 여덟 개의 발이 있고 거기에 수많은 빨판이 있다.”(표준국어대사전)

“바다에서 사는 연체동물의 한가지. 몸은 원통모양이고 머리부의 량쪽에 발달한 눈이 있다. 다리는 열개인데 입을 둘러싸고 있다.”(조선말대사전)

낙지와 오징어의 두드러진 차이는 다리의 개수다. 남녘에서는 다리가 여덟 개이면 낙지, 열 개이면 오징어다. 낙지는 다리의 길이가 모두 비슷하고, 오징어는 그 중에서 다리 둘의 길이가 유난히 길다. 조선말대사전에서 낙지 다리를 열 개라고 풀이한 것을 보면, 남녘의 오징어임을 알 수 있다.

북녘에서 1960년에 발행된 〈조선말사전〉에서 ‘낙지’를 보면, “몸뚱이는 길둥그렇고 머리 쪽에 긴 여덟 개의 발이 달렸다”라고 풀이하고 있어서 남녘과 같이 썼음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에 어떤 이유로 북녘의 낙지와 오징어가 바뀌게 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현재 남과 북은 낙지와 오징어를 바꿔 쓰고 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7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3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250
312 위례성과 아리수 바람의종 2008.04.24 8880
311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5961
310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800
»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9019
308 예식장 바람의종 2008.04.22 6941
307 술이홀과 파주 바람의종 2008.04.22 7612
306 꽃무릇 바람의종 2008.04.21 6180
305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444
304 기윽 디읃 시읏 바람의종 2008.04.20 11044
303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725
302 금산과 진내을 바람의종 2008.04.19 6967
301 쑥부쟁이 바람의종 2008.04.19 7459
300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604
299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298
298 영양과 ‘고은’ 바람의종 2008.04.16 10706
297 인사 바람의종 2008.04.15 9941
296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672
295 분꽃 바람의종 2008.04.14 7253
294 곧은밸 바람의종 2008.04.13 6686
293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9941
292 버들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4.10 8030
291 비비추 바람의종 2008.04.10 67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