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2 08:39

예식장

조회 수 6843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예식장

전날엔 신부집 안마당에 초례상을 차렸지만 요즘은 신랑·신부 집안 두루 예식장에 모인다. 혼례도 잔치도 뭉뚱그려 식장에서 끝내고 신혼여행을 간다. 시집 장가는 제쳐두고 ‘결혼’만 있다.

아들딸이 귀해진 요즘은 썩 달라졌지만, “딸 치우고 며느리 본다”고 할 만큼, 며느리 보는 쪽을 더 경사로 쳤다. ‘인적 자원’ 의식의 옛모습이다. 인사도 그냥 “경하합니다, 기쁘시겠습니다, 축하합니다 …”면 통한다.

딸 치우는 쪽은 좀 달랐다. “여자유행 가소롭다 부러워라 부러워라 남자일신 부러워라 젊고늙고 일평생이 부모슬하 뫼셔있네 우리도 남자되면 남과 같이 하올것을 ….”(내방가사 ‘사친가’에서)

예전 제도·풍습에서 응당 나올 법한 한탄이다. 요즘도 예식장에서 딸(신부) 어버이에게는 손님들이 함부로 축하하지 않고, 혼주들도 마음 사리는 이들이 있다. 겉으로는 ‘치운다’지만 마음은 ‘여읜다’에 가까운 탓이다. 이때 ‘여의다’는 임시이별이지만 전날엔 영이별에 못잖았다. 그래서 하는 인사말이 “섭섭하겠네, 서운하시겠소! …”였다. 사위가 잘났음을 칭찬하는 인사 정도는 그럴싸하다.

장례식장에 가면 먼저 고인의 명복을 빌며 두 번 절한다. 가족을 여읜 이의 슬픔은 헤아릴 수 없으므로 위로할 말을 찾기 어렵게 된다. 그래서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무어라 위로 말씀을 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얼마나 애통하시겠습니까” 정도로 간단히 말한다. 상주는 울음(곡)으로 답할 뿐이었지만, 이젠 곡은 사라지고 “이렇게 와주셔서 고맙습니다” 식으로 답례하기도 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1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514
334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443
333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0932
332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487
331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6999
330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5819
329 갑질 風文 2024.03.27 1380
328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285
327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669
326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086
325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302
324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357
323 감질나다 바람의종 2010.08.03 12684
322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568
321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029
320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526
319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756
318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070
317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328
316 갈매기살, 제비추리, 토시살 바람의종 2008.11.16 8630
315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606
314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135
313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79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