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2 08:39

예식장

조회 수 6989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예식장

전날엔 신부집 안마당에 초례상을 차렸지만 요즘은 신랑·신부 집안 두루 예식장에 모인다. 혼례도 잔치도 뭉뚱그려 식장에서 끝내고 신혼여행을 간다. 시집 장가는 제쳐두고 ‘결혼’만 있다.

아들딸이 귀해진 요즘은 썩 달라졌지만, “딸 치우고 며느리 본다”고 할 만큼, 며느리 보는 쪽을 더 경사로 쳤다. ‘인적 자원’ 의식의 옛모습이다. 인사도 그냥 “경하합니다, 기쁘시겠습니다, 축하합니다 …”면 통한다.

딸 치우는 쪽은 좀 달랐다. “여자유행 가소롭다 부러워라 부러워라 남자일신 부러워라 젊고늙고 일평생이 부모슬하 뫼셔있네 우리도 남자되면 남과 같이 하올것을 ….”(내방가사 ‘사친가’에서)

예전 제도·풍습에서 응당 나올 법한 한탄이다. 요즘도 예식장에서 딸(신부) 어버이에게는 손님들이 함부로 축하하지 않고, 혼주들도 마음 사리는 이들이 있다. 겉으로는 ‘치운다’지만 마음은 ‘여읜다’에 가까운 탓이다. 이때 ‘여의다’는 임시이별이지만 전날엔 영이별에 못잖았다. 그래서 하는 인사말이 “섭섭하겠네, 서운하시겠소! …”였다. 사위가 잘났음을 칭찬하는 인사 정도는 그럴싸하다.

장례식장에 가면 먼저 고인의 명복을 빌며 두 번 절한다. 가족을 여읜 이의 슬픔은 헤아릴 수 없으므로 위로할 말을 찾기 어렵게 된다. 그래서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무어라 위로 말씀을 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얼마나 애통하시겠습니까” 정도로 간단히 말한다. 상주는 울음(곡)으로 답할 뿐이었지만, 이젠 곡은 사라지고 “이렇게 와주셔서 고맙습니다” 식으로 답례하기도 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88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4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328
334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713
333 하룻강아지 / 밥약 風文 2020.05.29 1712
332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712
331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710
330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709
329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707
328 납작하다, 국가 사전을 다시? 주인장 2022.10.20 1706
327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704
326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701
325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698
324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697
323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693
322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692
321 국어 영역 / 애정 행각 風文 2020.06.15 1689
320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683
319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682
318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681
317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677
316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674
315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673
314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671
313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6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