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2 08:32

술이홀과 파주

조회 수 749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술이홀과 파주

경기도 파주는 백제 지역으로 ‘술이홀’이었다. 땅이름에서 ‘술’은 한자어 ‘봉’(峯)으로 맞옮기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경덕왕 때는 ‘술이홀’이 ‘봉성현’으로 바뀌었다. 또한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백제의 ‘아술현’이 ‘음봉현’으로 바뀌었으며, 우술군(雨述郡)은 비풍군(比豊郡)으로 바뀌었다는 기록도 나온다. ‘풍’의 옛날 발음이 ‘붕’이었음을 고려한다면, 우술군의 ‘술’도 ‘봉’(峯)으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땅이름에 쓰이는 ‘수리’는 우리나라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리봉’, ‘수릿재’, ‘수릿골’, ‘수리못’ 등이 이에 해당한다. ‘술이’는 말소리가 ‘수레’와 유사하다. ‘수레’의 옛말은 ‘술위’였으므로, ‘술이’와 ‘술위’는 서로 바뀌어 쓰일 수 있다. 이러한 보기로는 ‘수릿고개’가 ‘차령’(車嶺)으로 불린 데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것을 생각해 보면 ‘수리’는 단지 ‘봉우리’만을 뜻하는 말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땅이름에 나타나는 ‘수리’는 보통 작지만 둥근 모습을 띤 형세를 표현한다. ‘수리봉’이나 ‘수리못’은 둥근 봉우리와 연못을 나타내고, ‘수리바회’는 둥근 바위를 뜻한다. ‘강강술래’가 둥글게 추는 춤을 뜻하며, 궁중 나인을 뜻하는 ‘무수리’는 ‘물’에 ‘수리’가 붙은 말이니 물동이를 이어 나르는 신분이었다.

파주를 ‘술이’라고 한 건 감악산과 노고산, 개명산 등과 같이 두루뭉술한 산세와 임진강이 굽이져 흐르는 모습이 어우러진 까닭이라고 할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9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316
3150 산오이풀 바람의종 2008.04.07 7028
3149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075
3148 일터 말 바람의종 2008.04.08 9430
3147 밸과 마음 바람의종 2008.04.09 8310
3146 비비추 바람의종 2008.04.10 6663
3145 버들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4.10 7936
3144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9809
3143 곧은밸 바람의종 2008.04.13 6535
3142 분꽃 바람의종 2008.04.14 7154
3141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549
3140 인사 바람의종 2008.04.15 9801
3139 영양과 ‘고은’ 바람의종 2008.04.16 10562
3138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202
3137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489
3136 쑥부쟁이 바람의종 2008.04.19 7323
3135 금산과 진내을 바람의종 2008.04.19 6844
3134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606
3133 기윽 디읃 시읏 바람의종 2008.04.20 10933
3132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298
3131 꽃무릇 바람의종 2008.04.21 6060
» 술이홀과 파주 바람의종 2008.04.22 7498
3129 예식장 바람의종 2008.04.22 68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