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1 02:13

꽃무릇

조회 수 613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꽃무릇
 



 


“선운사 골째기로/ 선운사 동백꽃을 보러갔더니 ….”(서정주·선운사 동구에서), “꽃이/ 피는 건 힘들어도/ 지는 건 잠깐이더군 …”(최영미·선운사에서)이라고 동백꽃을 노래했지만, 지금 선운사에는 ‘꽃무릇’이 불타고 있다. 영광 불갑사, 함평 용천사, 장성 백양사 쪽도 한창이다.

‘꽃무릇’은 ‘꽃+무릇’으로 된 말인데, ‘무릇’의 뜻을 가늠하기 어렵다. 어떤 이는 무리지어 피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도 하는데, 무리지어 피는 꽃이 어디 한둘이랴. 오히려 ‘무릇하다: 좀 무른 듯하다’는 뜻과 관련지을 수 있을 듯한데, ‘밥을 무릇하게 짓는다’고도 한다. 무릇을 ‘물고리/ 물구’라고 일컫기도 한다. 그런데 무릇은 무르지 않아 꽃대로 조리를 만들기도 했던 것을 보면, 반그늘 습지에서 자라는 점을 반영한 이름이 아닐까 싶다.

한자 이름은 ‘석산’(石蒜)이다. 흔히 ‘상사화’(相思花)와 혼동하는데, 같은 수선화과지만, 꽃무릇은 9~10월에 피고, 상사화는 6~7월에 피고 키도 크다.

후제 어느 시인이 읊을 멋들어진 꽃무릇 노래를 기대해 본다. 꽃말이 ‘슬픈 추억’이라니 불타는 쓰린 사랑의 노래가 나올 법도 하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8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4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11
334 쑥돌·감돌·몽돌 바람의종 2008.05.08 10875
333 푸석수염 바람의종 2008.05.08 7957
332 보도자료 바람의종 2008.05.06 4365
331 소와리골 바람의종 2008.05.06 7143
330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6970
329 금덩이·은덩이 바람의종 2008.05.05 10561
328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397
327 떡값 바람의종 2008.05.03 6808
326 실레마을과 시루 바람의종 2008.05.03 7712
325 다정큼나무 바람의종 2008.05.01 8819
324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469
323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181
322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776
321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426
320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252
319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039
318 예비 바람의종 2008.04.28 7634
317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233
316 공암진 바람의종 2008.04.27 7696
315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732
314 오마대·기림대·오고타이 바람의종 2008.04.26 7705
313 설둥하다 바람의종 2008.04.25 70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