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1 02:11

논개

조회 수 839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논개

임진년 왜란을 일으킨 왜적은 진주성을 여러 번 쳤으나 번번이 뜻을 이루지 못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1593년 진주성을 무너뜨려 사람과 짐승 씨 하나 남기지 말라 명했다. 대군과 맞서 여러 차례 싸움에서 지켜낸 진주성도 기어이 무너지고 말았다. 촉석루에서 축하 잔치를 벌인 왜적들, 돋은 바위 위 한 여인의 아리따움에 홀린 왜장 게야무라. ‘양귀비꽃보다 더 붉은 마음’의 ‘논개’(論介)는 열손 가락지 낀 손을 깍지 껴 그를 안고 ‘강낭콩보다 더 푸른’ 남강으로 뛰어들었다.

논개라는 이름은 남자이름으로도 쓰였는데, 밑말 ‘논’에 ‘개’가 더해진 이름이다. 이름접미사 ‘-개’는 ‘-가’(加), ‘-가이’(加伊)와 뒤섞여 쓰였다. 명가(明加)/명개(明介), 풍가(豊加)/풍개(豊介)/풍가이(豊加伊). 동국신속삼강행실에는 한자로는 是加(시가)·楊加(양가)·億壽(억슈)·仇守(구슈)·梅花(매화)·葵花(규화), 한글로는 낱낱 ‘시개·양개·억슈ㅣ·구슈ㅣ·매홰·규홰’로 적고 있다. 홀소리로 끝나는 말끝에 /ㅣ/가 덧대지는 규칙이 있었던 모양인데, 이름접미사 ‘-가’가 ‘-가이/개’로 바뀌는 것 또한 이런 규칙의 영향인 듯하다.

고온개·난개·노난개·어둔개·언개·이른개·쟈근개 따위의 이름은 ‘고운 게, 난 게, 노는 게, 어둔 게, 언 게, 이른 게, 작은 게’처럼 들린다. ‘-개’가 단순히 이름접미사로 쓰인 이름에 가디개·검쇠개·긋개·귿탕개·기ㅁ.개·논개·눈개·똥개·막개·망죵개·미ㄴ.ㄹ개 ·범개·보롬개·복개·블개·삼개·솝동개·수개·슌개·씨개·어영개·언개·엄개·움개·허롱개가 있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3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9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965
1522 쓰이다, 쓰여, 씐 바람의종 2010.02.06 8264
1521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263
1520 숫자의 속음들 바람의종 2010.08.06 8258
1519 야반도주, 동병상련 바람의종 2008.07.10 8258
1518 영부인 바람의종 2009.12.14 8255
1517 대장금①/능금 바람의종 2008.05.22 8252
1516 영부인 바람의종 2008.12.08 8252
1515 곁불, 겻불 바람의종 2008.10.24 8247
1514 거짓말 바람의종 2009.09.06 8246
1513 문장의 앞뒤 바람의종 2010.01.10 8246
1512 막덕·바리데기 바람의종 2008.05.12 8241
1511 수훈감 바람의종 2010.05.17 8241
1510 뽀록나다 바람의종 2009.03.17 8238
1509 공권력 바람의종 2010.09.03 8235
1508 웃긴, 웃기는 바람의종 2009.03.23 8232
1507 썰매 바람의종 2010.07.26 8224
1506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223
1505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221
1504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220
1503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217
1502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217
1501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2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157 Next
/ 157